사진=MBC뉴스영상캡쳐
일본은행의 10월 기준금리 인상 전망이 잦아들고 있다. 30년 만에 0.5%의 금리 장벽을 넘어서는 역사적 조치가 될 수 있지만, 정치 정세와 대외 변수라는 두 가지 벽이 일본은행의 결정을 막고 있다.
무엇보다 차기 총리 유력 후보인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상이 변수다. ‘여자 아베’로 불리는 그는 금융 완화와 재정 확대를 중시하는 리플레이션파로, 아베노믹스 계승 의지가 강하다. 새 총리가 취임하자마자 금리 인상에 나서는 것은 정치적 역풍을 자초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일본은행이 올 1월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도 신임 총리 취임 석 달 뒤였다는 점은 이런 전망에 힘을 싣는다.
대외 환경 역시 불투명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이는 관세 정책은 일본 기업의 수익성과 글로벌 공급망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 일본은행이 금리 인상을 통해 엔화 강세를 자극할 경우, 수출기업 타격은 배가될 수 있다. 반대로 금리 동결이 길어지면 엔화 약세가 심화돼 수입물가 상승이 우려된다.
이런 상황은 한국에도 직접적 파급을 미친다. 일본이 금리 인상을 늦추면 엔화 약세가 장기화되고, 원화와 엔화 간 환율 변동성이 커진다. 이는 한국 수출기업의 가격 경쟁력에도 영향을 주며, 금융시장에서는 원·엔 재정거래 자금이 출렁일 가능성이 크다. 나아가 일본의 물가·임금 협상이 늦춰질 경우, 아시아 전체 소비 수요 회복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
결국 10월 금리 인상은 가능성이 낮아졌지만, 그 여파는 일본 내부에만 머물지 않는다. 일본은행의 결정은 정치 일정과 글로벌 관세 갈등, 그리고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금융시장 전반에 파급되는 ‘도미노 변수’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