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의 김대중 전 대통령 음해공작·뒷조사에 협조한 대가로 대북공작금 수천만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는 이현동(62) 전 국세청장이 영장심사에 출석했다.
서울중앙지법 강부영 영장전담판사는 12일 오전 10시30분부터 이 전 청장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다. 이 전 청장의 구속 여부는 이르면 이날 밤 늦게 또는 13일 새벽 결정될 전망이다.
이 전 청장은 영장실질심사 시간에 맞춰 오전 10시27분쯤 법원에 도착했다. 그는 '불법공작에 관여한 혐의를 인정하느냐' 등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지 않고 법정으로 향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지난 8일 이 전 청장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국고손실·뇌물수수 등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에 따르면 원세훈 전 원장 시절 국정원은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과 관련해 해외에서 떠돌고 있는 풍문성 비위정보를 수집·생산하는 비밀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해당 프로젝트에는 대북업무에 쓰여야 하는 대북공작금 10억여원이 사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이 전 청장이 이른바 '데이비슨 프로젝트'로 명명된 김 전 대통령에 대한 음해공작을 도운 대가로 국정원으로부터 수천만원에서 1억원에 달하는 '수고비'를 건네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데이비슨 프로젝트'는 김 전 대통령의 약칭인 'DJ'의 'D'에서 착안해 작명됐다. 김 전 대통령이 수조원의 비자금을 해외에 차명계좌로 보유하고 있다는 풍문을 뒷조사하던 국정원은 이를 확인하기 수억원 상당의 대북공작금을 썼지만 증거는 찾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달 30일 이 전 청장의 주거지와 사무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이튿날 소환조사를 했다. 이어 지난 7일에도 불러 14시간가량 2차 조사를 벌인 뒤 영장을 청구했다.
이 전 청장은 이명박 정부 내내 승진을 거듭하며 승승장구했다. 지난 2008년 서울지방국세청장을 거쳐 이듬해 국세청 차장에 올랐고 2010년 8월부터 2013년 3월까지 국세청장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