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출입을 막지 않았다는 윤 대통령 담화 내용과 달리 3일 밤 10시 46분부터 11시 6분, 그리고 11시 37분부터 다시 국회 출입이 통제됐다.
국회 기능을 마비시키려 하지 않았다고 했지만, 현장 지휘관들의 말은 다른다.
특히 여야 대표와 국회의장 등 정치인 등 10여 명을 체포하려고 한 건, 사실상 국회 해산 시도란 분석이 나온다.
계엄 해제안이 의결된 뒤 군 철수도 직접 지시했다고 주장했지만 군의 얘기는 다르다.
계엄군의 국회 장악을 막고 사상자가 발생하지 않은 건 항명을 각오한 현장 지휘관들의 판단 때문이었다는 증언도 잇따랐다.
윤 대통령은 계엄 당시 동원 병력이 국회 질서 유지를 위한 소수였다고 주장했지만, 민주당은 전체 계엄군이 1,300명이 넘는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