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의 퇴진 가능성이 커지며 조기 대선이 예상되는 가운데 차기 대선의 적절한 시기에 대해선 ‘내년 봄’이라는 응답자는 68%로 나타났다. 피선거권 제한이 걸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재판 일정에 대해선 ‘기존 일정대로 심의해야 한다’는 의견이 67%로 이다.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이 뉴스1의 의뢰로 지난 10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2일 공개한 여론조사 내용은 아래와 같다.
조기 대선 시기에 대한 질문에는 ‘내년 봄’이라는 응답자가 가장 많은 가운데 ‘내후년 하반기 이후’는 10%, ‘내년 하반기’는 9%, ‘내후년 6월 지방선거와 함께해야 한다’는 6%였다.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재판 일정에 대해선 ‘정치 상황과 무관하게 기존 일정대로 심의해야 한다’는 37%, ‘6개월 내 대법원 선고까지 끝내야 한다’는 30%, ‘계엄 정국 수습 이후로 2심 선고를 미뤄야 한다’는 26%였다.
탄핵 정국의 수습 방안에 대해선 ‘국회 의결을 통한 대통령 탄핵 추진’은 57%, ‘대통령 스스로 하야 선언’이 20%로 즉각적인 퇴진 조치가 77%였다. ‘당정 협력으로 질서 있는 퇴진’은 8%에 불과했다. ‘대통령 임기 완수’ 의견은 13%였다.
윤 대통령의 임기 단축 시점으로는 ‘지금 즉시 해야 한다’가 70%로 가장 높았으며 ‘1년 이후’ 11%, ‘3개월 후’ 7%, ‘6개월 후’ 5%였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선 ‘내란죄로 처벌해야 한다’는 69%, ‘직권남용죄로 처벌해야 한다’는 9% 등 처벌 응답이 78%인데 반해 ‘국가 위기 상황에서 선포한 합법적 계엄’이라는 의견은 18%였다.
여권에선 윤 대통령의 퇴진 전까지 국무총리가 당과 협의해 민생과 국정을 차질 없이 챙기는 사실상의 책임총리제를 제시했지만 국민의 73%가 반대했다. ‘찬성’은 22%였다.
차기 대권 후보 적합도 조사에선 이 대표가 37%였으며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7%였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6%, 홍준표 대구시장 5%, 오세훈 서울시장·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4%, 김동연 경기지사 3%,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2%,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김경수 전 경남지사 1%였다. 없다는 의견도 22%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