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등재에 한국이 동의해 준다면 강제동원 관련 전시물을 설치하고, 매년 추도식을 열겠다고 약속했다.
2015년 '군함도' 때처럼 등재 이후 일본이 말을 바꿀 거란 우려가 컸지만, 정부는 일본이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진정성을 보인다며 등재에 동의했다.
하지만 일본이 설치한 전시물엔 '강제'란 표현이 없었고, 이번 추도사에도 '강제'란 말은 빠졌다.
우리 정부가 차관급 인사 참석을 요구하자 일본 정부가 보낸 인물은, 야스쿠니 신사 참배 여부가 논란이 된 극우 정치인 출신인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이었다.
끝내 일본을 설득하지 못한 정부는 추도식 전날 불참을 결정했지만, 공식 항의나 유감 표명은 하지 않았고, 이미 일본에 건너간 유족들은 따로 추도식을 열어야 했다.
정부는 일본의 약속 불이행을 유네스코에서 문제 제기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