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에 직격탄을 맞은 건 바로 영세 자영업자들이다. 에너지 요금에 원재료비도 올라 장사를 접을 판이라며 취약계층 지원을 확대해 달라고 호소했다.
서울의 한 코인노래방. 손님이 있든 없든 노래 기계를 켜둬야 하고 난방도 일정 온도로 유지해야 해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없다. 코로나19가 진정되면서 사정이 좀 나아지나 했더니 껑충 뛴 전기 요금이 발목을 잡았다.
숙박업소도 난방비 고지서를 받아들고 시름이 깊어졌다. 1년 전보다 사용량은 줄었는데 한달 가스 요금이 90만 원이나 더 나온 것이다. 당장 숙박 요금을 올릴 수도 없는 상황에 견디다 못한 소상공인들은 정부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이 공개한 관리비를 확인해 보니 PC방, 노래방, 미용실 등 에너지 사용이 많은 업종에서 한달 평균 30%가량 요금 부담이 늘었다.
한 음식점 운영자는 "어쩔 수 없이 메뉴값을 조정하게 되면 과연 영업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겠느냐, 절박한 상황이라고 말씀드릴 수가 있습니다."라며 한탄했다.
소상공인들은 요금 분할 납부 제도만으로는 버티기 힘들다며 에너지 취약계층에 포함해달라고 호소했다.
오세희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난방비가 재난 수준이므로 사회적 보험 상품을 만들어서 지원을 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최근 소상공인단체 조사에선 응답자의 80%가 난방 비용에 매우 부담을 느꼈고 35%는 마땅한 대안이 없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