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 이후 주택 가격이 하락하고 있지만 금리 상승으로 주택구입부담지수가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주택금융공사(HF)는 지난해 3분기 전국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89.3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4년 이후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전국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지난 2021년 4분기 83.5으로 사상 첫 80을 돌파하면서 이전 최고치였던 2008년 2분기 76.2를 뛰어넘었다.
이어 지난해 1분기 84.6, 2분기 84.9에 이어 3분기 89.3까지 네 분기 연속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간소득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의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지수로 높을수록 주택구입부담이 가중된다는 뜻이다.
주택담보대출 상환으로 가구소득의 약 25%를 부담하면 주택구입부담지수는 100으로 산출되며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시세와 통계청 가계조사 및 노동부의 노동통계조사, 한국은행의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을 토대로 계산한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3분기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가 214.6으로 2분기보다 10.6포인트 상승하면서 역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 지역의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할 경우 소득의 절반이 넘는 54%를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부담해야 한다는 뜻이다.
서울에 이어 세종의 주택구입부담지수가 지난해 3분기 134.6으로 2위를 차지했고 경기가 120.5, 인천 98.9, 제주 90.9 순이었다.
주택금융공사 관계자는 “3분기 전국 중위주택가격은 전분기 대비 1.2% 하락하고 중위가구소득은 0.2% 상승했지만, 대출금리 수준이 18.6% 상승하면서 전국 주택가격부담지수가 4.4포인트 상승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