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11월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평균 5.1%를 기록해 1998년 이후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앞으로 국제 유가가 안정되고 경기가 꺾이면서 오름세는 점차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지만 변수가 많다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은 오늘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올해 들어 11월까지 소비자물가는 지난해보다 평균 5.1% 올라 금융위기를 겪은 2008년 4.7%보다 높았고, 7.5%를 기록한 1998년 이후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반기 들어 국제유가가 하락세를 보인데다 원·달러 환율이 안정되면서 수입물가는 오름폭이 축소됐지만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가 높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전기와 도시가스 요금도 인상되면서 상승세가 쉽게 꺾이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소비자 물가는 당분간 5% 내외의 상승률을 이어가겠지만 석유류 가격 오름폭이 축소되고 국내외 경기가 위축되면 점차 오름세가 꺾일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유가와 국내 경기 둔화 등이 예상대로 영향을 미칠 지는 여전히 장담하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유가는 전 세계적인 경기둔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중국의 경제활동이 빠르게 회복될 경우 효과가 반감되며 러시아산 원유 수입 제한이나 산유국들의 대규모 감산 등 변수가 많다고 설명했다.
경기가 위축되면서 소비가 줄어 물가가 안정되는 효과는 한 번 오른 서비스물가가 쉽게 내려가지 않는 점과 전기요금 추가 인상 폭 등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의 경우 꾸준히 올라 최근 상승률이 4.3%를 기록했지만 앞으로는 경기 둔화에 금리 인상, 전세값 하락 등의 영향으로 오름세가 꺾일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우리나라는 식료품과 에너지 등 비근원 품목의 기여도가 낮아지면서 물가 오름세가 꺾이고 있지만 유럽은 천연가스 수급 차질과 가공식품 가격 인상으로 고물가가 쉽게 잡히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