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풀무원, 냉동피자 시장서 최고 성장률 기록하며 국내 냉동피자 성장 주도
  • 조기환
  • 등록 2022-01-04 12:25:38

기사수정
  • - 2021년 냉동피자 연간 시장 점유율 23.5%로 2위…전년 대비 약 10%p 증대



▲ 사진=풀무원 제공



풀무원 냉동피자 성장률이 시장 전체의 성장률을 크게 웃돌며, 국내 냉동피자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풀무원식품(대표 김진홍)은 2021년 냉동피자 연간 시장 점유율이 23.5%로 2위를 유지함과 동시에 전년 대비 매우 큰 성장률(9.6%p)을 보였으며, 온라인 채널에서도 1위(점유율 37.6%)를 수성했다고 4일 밝혔다.


온·오프라인 시장을 모두 집계하는 리서치 기관 칸타(KANTAR)의 국내 냉동피자 시장 최신 자료(2021년 8월 기준)에 따르면 국내 냉동피자 시장 연간 규모는 1,218억 원으로 전년(1,093억 원) 대비 11.4% 신장했다.


이 시장에 2019년 말 진출한 풀무원은 엄청난 속도로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 2021년에는 전년 대비 89.3%의 성장률을 보였고 이에 따라 시장 점유율도 2020년 13.8%에서 2021년 23.5%까지 뛰어올랐다. 이는 냉동피자 주요 제조업체 중 가장 높은 성장률로 풀무원이 이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온라인 냉동피자 구매 트렌드도 주도해가고 있다. 풀무원은 2020년 처음으로 온라인 피자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였으며, 2021년 기준 37.6%로 계속해서 선두 자리를 유지 중이다.


이는 국내 냉동피자 시장에서 온라인 구매 트렌드가 점차 대세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전체 시장에서 온라인 구매 비중은 25.6%로, 전년 대비 매우 높은 성장률(28.2%)을 보이며 유력한 판매 채널로 급부상했다.


풀무원 냉동피자 매출액(내부 기준)도 2020년 320억 원에서 2021년 400억 원 가까이 뛰어오르며 피자 제품 성장을 실감케 했다. 특히 지난해 첫선을 보인 프리미엄 피자 ‘치즈폭포 시카고피자’는 8월 출시 이후 수요가 폭증하며 물량이 부족해 더 팔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공급 물량을 지속적으로 늘려가며 소비자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풀무원식품 냉동FRM(Fresh Ready Meal) 정다경 PM(Product Manager)은 “풀무원은 2019년 말 냉동피자 시장에 진출한 후발주자인데도 점유율 2위까지 빠르게 올라섰고, 특히 2021년에는 10%p 가까운 성장률을 보이는 등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면서 “기존 인기 제품인 ‘노엣지 피자’가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고 있고 지난해 출시한 프리미엄 ‘시카고 피자’의 흥행도 순조로워 물량 공급을 늘려가며 더욱 좋은 성과를 낼 것이라 전망한다”고 밝혔다.


한편, 풀무원은 지난 2019년 12월 노엣지와 크러스트 피자를 출시하며 냉동피자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했다. 냉동피자가 안고 있던 문제점인 질기고 딱딱한 도우, 적은 토핑을 혁신적으로 개선해 많은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았다.


또한 풀무원은 마지막 한입까지 맛있게 먹는 즐거움을 소비자에게 선사하기 위해 피자의 끝부분인 ‘엣지’를 차별화하는 ‘엣지혁명’을 전면에 내세우고 새로운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8월에는 그동안 전문점에서나 접할 수 있었던 프리미엄 제품 ‘치즈폭포 시카고피자’를 출시하면서 냉동피자의 영역을 확대했다. 이 제품은 냉동피자의 한계를 깨고 한층 더 전문점에 가까운 품질을 구현한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제천국제음악영화제 레드카펫 ‘부직포 논란’…행사 품격 추락 제21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가 지난 9일 폐막했지만, ‘레드카펫 부직포 논란’은 여전히 지역사회와 문화계에서 회자되고 있다.올해 영화제 개막식에서 깔린 레드카펫은 고급 직물 대신 얇고 쉽게 구겨지는 부직포 재질에 가까웠다는 지적을 받았다. 겉으로는 붉은색으로 도포돼 있었지만, 두께 감이나 질감 면에서 국제 영화제의 격.
  2. 단양예총회장, 주차 차량 들이받고 도주…4일 만에 피해자에 연락 논란 충북 단양군의 문화예술을 책임지는 민간단체장이 음주 의혹은 아니지만 주차된 차량을 들이받고도 즉시 사고 조치를 하지 않은 채 자리를 떠나 논란이 일고 있다.피해자 B씨에 따르면 사고는 지난 5일 오후 7시 50분께 단양읍 별곡리의 한 주택가에서 발생했다. B씨가 집 근처에 세워둔 자신의 차량(K7 승용차)을 가해 차량이 들이받은 뒤 그..
  3.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주식 활용 PRS로 7천억 조달…적자·차입 압박 속 돌파구 찾기 8일 업계에 따르면 이차전지 양극재 기업 에코프로가 주가수익스와프(PRS) 계약을 통해 약 7천억 원 규모 자금을 조달한다. 직접 조달에 한계가 있는 만큼 자회사 에코프로비엠 주식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8일 업계에 따르면 에코프로는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대신증권, 메리츠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해 PRS 계약을 추진 중이다. ...
  4. 몽골 화산 여행 중 한국인 인플루언서 추락사 20대 한국인 여성이 몽골 북부 화산 정상에서 사진을 찍다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8일 정부에 따르면 여행 인플루언서 A씨는 지난달 28일 몽골 불간 주 오랑터거 화산 정상 부근에서 촬영 도중 강풍에 휘말려 10m 아래로 떨어져 현장에서 사망했다. 그는 9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SNS 인플루언서로, 당시 몽골 북부 지역을 여행 중이..
  5. 참의원 선거 참패 후폭풍…이시바 총리 11개월 만에 물러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7일 오후 총리 관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민당 총재직 사임을 공식 표명했다. 그는 차기 자민당 총재 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을 것이라며 “새로운 리더를 선출하는 절차를 개시해 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일본은 내각제 국가로, 다수당 대표가 총리직을 맡는다. 현재 제1당은 자민당이므로 자민당 총재 교체는...
  6. 2025년 경기도사회적경제박람회, 평화·기후·돌봄·기회 주제로 수원서 개막 [뉴스21 통신=홍판곤기자 ]경기도와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이 공동 주최하는 ‘2025년 경기도사회적경제박람회’가 오는 9월 12일부터 13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이번 박람회는 ‘사람을 위한 사회적경제로 세상을 더 이롭게’라는 슬로건 아래, 평화·기후·돌봄·기회 등 4대 주제를 중심으로 다채로운 프로...
  7. 어린이날 덤프트럭 바퀴 분리 사고…의식 못 찾은 여고생 127일째 어린이날 발생한 덤프트럭 바퀴 분리 사고로 중상을 입은 여고생이 넉 달째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가운데, 30대 트럭 운전자가 검찰에 넘겨졌다. 경기 과천경찰서는 8일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위반(치상) 혐의로 덤프트럭 운전기사 A씨를 지난달 말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사고는 지난 5월 5일 오후 1시쯤 과천 갈현삼거리에서 발생했다. ...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