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17일 충청북도는 2010년 민선 5기 출범과 민선 6기, 민선 7기까지 10여 년 동안 투자유치에 도정 역량을 집중한 결과 충북 경제 100년의
미래를 새롭게 여는 100조 원이 넘는 투자유치 성과를 달성했다.
이러한 투자유치 성과를 기반으로 ①10여 년간 충북 경제성장은 대한민국의 최상위권으로 도약하고 ②첨단산업불모지에서 대한민국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탈바꿈했으며, ③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의 원동력과 지역경제 마중물 역할을 하고 ④투자유치 경제성장의 발판, 충북 미래 100년 먹거리를 확보하여 충북이 대한민국 경제의 중심으로 도약하는데 기여했다.
충북은 투자유치 103.4조 원(10.7.~21.11.), 7,606개 사를 유치하고 27.4만 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등 충북 경제성장의 핵심적인 원동력이 됐다.
10여 년간 투자유치 100조 원, 충북 경제 대한민국 최상위권 도약
ㅇ 충북 GRDP는 66.9조 원, 전국 비중 3.62%를 점유했으며, 5년간 경제 성장률 5.0%가 증가하여 1위를 차지했고 1인당 GRDP는 61.2%(26.5백만 원→42.7백만 원)가 증가해 전국 1위를 달성했고 이는 대기업이 집중된 경기도를 앞선 것이다.
ㅇ 경제성장의 배경에는 대규모 투자유치 프로젝트인 SK하이닉스(주) (청주), (주)LG에너지솔루션(청주), 한화솔루션(주) 진천공장, ㈜네패스 (괴산), 현대엘리베이터(주) 본사 충주 이전, ㈜DB하이텍(음성), ㈜엔켐(제천) 등 지역별 핵심 앵커 기업을 유치한 결과에 기인한 것이다.
첨단산업불모지에서 대한민국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탈바꿈
ㅇ 10여 년간의 투자유치는 6대 신성장 산업인 ICT융합산업 등 첨단 앵커 기업을 집중 유치하여 대한민국의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탈바꿈했다.
ㅇ 각 분야별 최고 기업을 유치한 결과라 할 수 있다.
- ICT 융합 분야 대표기업인 SK하이닉스(주) M15공장을 유치하고 차세대 낸드플래시 핵심 공장인 가칭 M17 공장을 유치할 수 있었던 것은 TF팀 운영과 고압 전력공급을 위한 345kV신청주변전소 등 전폭적으로 지원한 결과이며, 이를 기반으로 충북이 반도체산업 생산액 2위를 달성했다.
- 이차전지 분야 세계 1위인 ㈜LG에너지솔루션의 오창공장을 세계적인 차세대배터리 핵심 거점 지역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지원한 결과 충북이 이차전지 생산액 전국 1위 달성에 기여하였으며, 전국 유일의 소재부품 장비특화단지에 지정(21.2월)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 또한, 태양광 분야 1위 기업인 한화솔루션(주) 진천공장 유치를 위해 TF팀을 운영하고 2년 공사 기간을 8개월로 단축하여 세계 최대 태양광 제조 공장을 유치하고 국내 유일 충북태양광산업특구가 전국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 충북이 전국 1위 태양광 생산거점으로 성장했다.
- 아울러, 바이오 분야는 ㈜셀트리온제약,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주), 에스디바이오센서(주)등 글로벌선도기업을 집중 유치함으로써 대한민국 바이오의 중심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오송·충주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계기가 됐다.
- 특히, 희토류 친환경 생산기업인 호주 ASM 청주 오창 유치를 통해서 한국내 희토류 친환경 공급망을 확보하고 주민들과 공존하고 지역발전의 핵심축 역할을 할 수 있는 중부권 의료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국립소방병원 충북혁신도시 유치, 충청권 최대 관광단지인 증평 에듀팜 특구를 유치했다.
- 이런 투자유치 성과달성에는 대규모 투자프로젝트 추진 TF팀을 항시 가동 하고 투자유치를 위한 그릇인 산업단지 34개소를 신규 조성했으며, 이와 더불어 타 시도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투자보조금을 1,000억 원까지 확대하는 등 파격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은 노력의 결과이다.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의 원동력과 지역경제 마중물 역할
ㅇ 코로나19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인한 국가적인 경제위기 상황에서
충북은 반도체, 이차전지 등 각 분야의 대표기업이 선전한 결과 사상 최대 수출액인 249억 불, 전국 2위의 수출증가율을 달성했으며,
고용률은 70.5%로 전국 2위, 탄탄한 기업 유치를 통해 코로나19
경제충격을 극복하는 원동력 역할을 톡톡히 했다.
ㅇ 대규모 투자 성공사례인 SK하이닉스 M15공장 유치를 통해 48.4조 원의 생산 유발, 114천 명 취업 유발효과가 발생, 지역경제 활성화 계기가 됐다.
- 기업투자는 토목·건설 중심의 부가 가치 및 일자리 창출 외에도 주민소득 증대, 소비 증가, 투자 증가, 생산증가, 부가 가치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 선순환의 마중물 역할과 지역의 전후방산업에도 큰 기여를 했다.
ㅇ 10여 년간의 투자유치 103.4조 원은 111조 원의 생산 유발, 41.1조 원의
부가 가치, 58만 7,609.5명의 취업 유발 효과가 발생했다.
- 2012년 보은 동부산업단지(14만여 평)에 ㈜우진플라임을 투자 유치한 결과 한적한 농촌 마을에 1,000명이 넘는 대규모 일자리가 만들어졌으며, 조용한 시골 마을을 활력이 넘치는 지역으로 변화했고 2019년 괴산첨단 산업단지내 ㈜네패스를 유치하여 지역경제활력화의 마중물 역할을 했다.
- 특히, 도내 저발전지역을 중심으로 산업단지 조성을 확대(20년 44개소/4개↑)
하고 기업 유치에 집중한 결과 기업 수가 37.4% 증가한 1,712개로 증가하여
5%에 가까운 인구감소율을 1.53%로 낮추는 역할을 했으며, 투자
유치를 통해 지역경제위기를 극복하고 활성화는 계기를 만들었다.
투자유치 경제성장의 발판 마련, 충북 미래 100년 먹거리 확보
ㅇ 충북은 10여 년간 투자유치 100조원 달성을 통한 첨단산업의 경제성장에 기반하여 미래 신성장산업 육성기반 구축과 충북 미래 100년을 열었다.
- 1조 원대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유치는 충북의 기초과학 육성은 물론
모든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충북이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의 보고
(寶庫)로 도약하는 데 일조할 것이며, 충북 청주가 세계적인 과학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고 충북 미래 100년의 성장동력인 오송 · 충주 국가산업단지 지정은 총8.99㎢(272만평) 규모로 추진될 것이며, 세계적인 바이오산업 클러스터로 도약할 수 있는 초석(礎石)이 될 것이다.
ㅇ 미래 충북은 6대 신성장 산업 성장을 기반으로 충북 미래 100년 책임질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등 4차 산업혁명의 유망분야 유치를 위해 투자유치 그릇인 산업단지를 확대하고 제조업 중심의 성장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R&D투자기업, 지식경제기반 서비스산업, 대규모 일자리를 창출하는 휴양 시설 등 청정 서비스업 유치에 집중할 계획이다.
□“생명과 태양의 땅 충북” 투자협약 체결, 투자유치 유공 기업 및 유공자 표창
ㅇ 충북 10여 년간 브랜드슬로건인 “생명과 태양의 땅 충북, 함께하는 충북”
완성을 위한 1.3조 원 투자협약을 청주 그랜드프라자에서 체결했다.
- 바이오기업인 ㈜바이오플러스와 충청북도, 음성군 간 협약을 체결했 으며, 2022년부터 2031년까지 음성성본산업단지 2천억 원을 투자하여 바이러스 치료제를 생산 예정으로 2백여 명의 고용을 창출할 계획이다.
- 국내 최대 규모의 태양광 솔루션 기업인 한화솔루션(주)와 충청북도, 진천군, 음성군간 협약을 체결했으며,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충북 진천과 음성지역에 1조 원 규모의 태양광 셀모듈 공장을 신·증설할 계획이다.
- 외국인 투자 기업인 파워마스터반도체(주)와 충청북도, 청주시간 투자협약을 체결했으며,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오창외투지역에 1,000억 원을 투자 하여 전력반도체 생산설비를 증설하고 70명의 신규 고용할 계획이다.
ㅇ 아울러, 10여 년간 투자유치 100조 원 달성에 기여한 투자기업과 투자
유공자 100명을 선정하여 시상식을 개최했다.
- SK하이닉스(주), 한화솔루션(주), ㈜네패스라웨, ㈜블랙스톤 에듀팜리조트, 외투 기업(日)인 더블유스코프(주)에 대규모 투자에 따른 지역경제활성화 유공 으로 감사패를 수여했으며, 유관기관으로는 충북투자기업 전력 애로사항을 해결한 한국전력공사(충북지역), 충북의 원활한 용수공급을 지원한 한국 수자원공사(금강유역)를 현장에서 수여했다.
- 한편, 투자유치 100조 원 달성에 공로가 큰 설찬교, 이봉배 투자유치자문관, 국가 희토류 공급망확보에 핵심 역할을 할 친환경 생산기업 호주 ASM
유치 공로자인 충북대 화학공학과 정상문 교수에게 표창장을 수여했다.
ㅇ 이시종 충청북도지사는 “2010년 7월 민선 5기가 출범한 이후 자원이 부족한 충북은 투자유치가 살길이라는 사명하에 100조 원을 초과 달성 했습니다.”라며, “충북 경제가 대한민국 경제의 변방에서 중심 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하여 주신 도민과 충북 투자 유치의 주인공인 기업인 여러분께 감사 말씀을 드립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