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대상 774개 기관의 2018년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총 421만 톤CO2eq*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CO2eq(이산화탄소 상당량): 이산화탄소에 대한 온실가스의 복사 강제력을 비교하는 단위로서 해당 온실가스의 양에 지구 온난화지수를 곱하여 산출한 값을 말함
이는 기준배출량* 502만 톤CO2eq 대비 19.6%인 98만 톤CO2eq**을 감축한 결과다.
* 기준배출량: 각 기관별 2007~2009년 평균 배출량을 기준배출량으로 정하며, 시설의 신설·증설·폐쇄 등을 반영하여 매년 기준배출량 보정
** 98만 톤CO2eq 감축량은 대상 기관의 건물과 차량 감축량 81만 톤CO2eq 이외에 외부감축사업 및 탄소포인트 감축량 17만 톤CO2eq을 포함한 것임
이러한 감축률 19.6%는 전년 감축률 18.3% 대비 1.3%p 상승한 수치며, 지난해 대상기관이 시설 개선 등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힘쓴 결과다.
* 감축량(감축률): 2011년 29만톤(5.8%)→2017년 91만톤(18.3%)→2018년 98만톤(19.6%)
또한, 2018년 배출량 421만 톤CO2eq은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도‘를 처음 도입한 2011년 배출량 473만 톤CO2eq과 비교하면 11%인 52만 톤CO2eq을 감축한 성과다.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도‘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근거로 2011년에 도입되었으며, 중앙정부·지자체 등 7개 유형 774개 기관*에 대해 환경부에서 매년 각 기관별로 기준배출량을 제시한 후 연차별 감축목표를 기준으로 이행실적을 점검한다.
* 중앙행정기관(45), 지자체(243), 시도 교육청(17), 공공기관(287), 지방공사·공단(135), 국·공립대학(36), 국립대학병원(11)
2018년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운영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1년 대비 2018년 배출량*은 중앙행정기관(45개)을 제외하고 지자체(243개), 시도 교육청(17개), 공공기관(287개), 지방공사·공단(135개), 국·공립대학(36개), 국립대학병원(11개) 등 6개 기관 유형에서 모두 감소했다.
* 2011년 대비 2018년 배출량 증감률: 중앙행정기관 3.8% , 시·도교육청 –3.2%, 지방공사·공단 -9.6%, 지자체 -10.4%, 공공기관 -14.1%, 국립대학병원 –26.1%, 국·공립대학 -39.3%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감축률은 평균 감축률 19.6%를 상회하는 반면, 중앙행정기관, 시도 교육청, 지방공사·공단, 국·공립대학, 국립대학병원은 감축률*은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 2018년 감축률: 지자체 23.3%, 공공기관 22.1%, 국·공립대학 17.8%, 지방공사·공단 15.4%, 중앙행정기관 14.9%, 시·도교육청 13.3%, 국립대학병원 7.9%
감축성과가 우수한 기관 중 중앙행정기관으로는 중소벤처기업부(10,000톤 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