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와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11월13일부터 18일까지 5박6일 일정으로 싱가포르와 파푸아뉴기니를 방문한다.
먼저 11월13일터 16일까지 싱가포르를 방문하여, 제20차 한-ASEAN 정상회의, 제21차 ASEAN+3(한중일) 정상회의, 제13차 동아시아정상회의(EAS) 등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17일부터 18일까지는 제26차 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파푸아뉴기니를 방문한다.
청와대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은 7일 청와대 브리핑에서 이번 정상회의에서 4차 산업혁명의 도전에 대비하는 큰 틀로서 우리 정부의 ‘혁신적 포용국가 비전’을 국제사회에 제시하는 등 역내 지역 전체의 발전 방향 논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한 "이번 다자 정상회의 기간 중 러시아·호주 등과 양자 회담을 하고 양국 간 실질 우호 협력 증진과 지역 및 국제문제 관련 협력 방안 등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라며 "미국 펜스 부통령과도 면담을 갖는 방안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남 차장은 이번 제20차 한-ASEAN 정상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아세안 측에 신남방정책 천명 1주년을 맞이하여 그간의 추진 성과를 설명하는 한편, 3P(사람공동체, 상생번영공동체, 평화공동체) 협력 분야별로 상세한 이행 계획을 설명하고,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0주년을 기념하고, 신남방정책의 이행을 가속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2019 한-ASEAN 특별정상회의 개최를 아세안 측에 제안하고, 이에 대한 최종적인 합의를 도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제21차 ASEAN+3 정상회의에서는 ASEAN+3 체제가 지향해야 할 방향과 한국의 역할에 대해 역내 위기대응 체계 강화, 혁신 기반의 물리적 연계성 강화, 인재양성,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 등 네 가지 분야를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특히,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를 통한 역내 금융안전망 구축과 쌀 비축제도(APTERR)를 통한 식량안보 증진 등 역내 공동 위기대응 체계 구축에 있어서의 한국의 적극적인 기여 의지를 밝힐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