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21 통신=박민창 ] 전남 나주시가 어르신 복지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을 본격화하며 새로운 복지 모델을 제시했다.
나주시는 12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시민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스마트경로당 개통식’을 개최하고, 관내 20개 경로당을 화상 시스템으로 실시간 연결했다.
이번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5 스마트경로당 구축사업’ 공모에 선정되며 추진됐다.
총사업비 4억 3천만 원 투입으로 스마트경로당에는 스마트TV, 무선인터넷 등 디지털 장비가 도입됐으며, 지난 8월까지 주요 인프라 구축을 마쳤다.
이 공간은 응급안전 시스템과 화상 플랫폼을 기반으로 건강관리, 여가,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디지털 복지 허브로 운영된다.
어르신 대상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도 병행되며, 정보 접근성 향상과 사회참여 기회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부노인복지관은 스마트 스튜디오로 조성돼 오프라인 교육을 온라인으로 확장하고, 노래교실·체조·명상·요가·웃음치료 등 다양한 시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경로당별로 배치되는 노인일자리 신규 사업단 ‘스마트경로당 서포터즈’는 지역 어르신들로 구성돼 현장 지원을 담당하며, 사업의 실효성과 지속성을 높일 예정이다.
나주시는 올해 성과에 이어 내년에도 추가 공모에 선정돼 7억 4400만 원의 예산을 확보했으며, 스마트경로당 확대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윤병태 나주시장은 “스마트경로당은 단순한 쉼터를 넘어 건강관리와 평생교육, 문화활동까지 가능한 ‘스마트 문화사랑방’으로 변모할 것”이라며 “100세 시대에 걸맞은 고령친화 도시, 살기 좋은 행복 나주 실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