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권경업)은 지리산국립공원 구룡계곡(남원 육모정) 일대에 사는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을 관찰한 결과, 지난해 2월 6일에 비해 23일 늦은 3월 1일에 첫 산란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연구진은 기후변화 추이를 연구하기 위해 2010년부터 9년간 구룡계곡 일대에서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 시기를 기록하고 있다.
다만 구룡계곡에서 직선거리로 23km 떨어진 지리산 하동 자생식물관찰원에서는 2월 18일에, 16km 떨어진 구례 피아골계곡에서는 2월 20일에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이 관찰되었다.
연구진은 올겨울이 예년에 비해 유독 추웠기 때문에 구룡계곡의 북방산개구리 산란이 늦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2017년) 구룡계곡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일은 2월 6일이며, 가장 빠른 날은 2014년 2월 1일, 가장 늦은 날은 2015년 3월 4일이다.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은 적산온도가 발육에 필요한 최저온도(발육영점온도, 5℃) 이상이 되는 날(적산온도 시작일)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 적산온도 : 발육영점온도 이상인 날의 평균온도와 발육영점온도의 온도차이를 누적한 온도
<</span>구룡계곡 북방산개구리 산란일>
구 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첫 산란일 | 2월22일 (53일)* | 2월23일 (54일) | 2월23일 (54일) | 2월4일 (35일) | 2월1일 (32일) | 3월4일 (63일) | 2월16일 (47일) | 2월6일 (37일) | 3월 1일 (60일) | ||||||||
적산온도 (기준5℃) 시작일** | 56일 | 58일 | 20일 | 32일 | 33일 | 77일 | 43일 | 6일 | 70~80일 예상 |
* 1월 1일을 1일차로 계산, 1년을 365일로 표현
** 일평균온도-기준온도(5℃)의 누적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 되는 날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올해부터 북방산개구리 산란 관찰 지점을 기존 4곳에서 7곳을 추가하여 총 11곳으로 확대했다.
북방산개구리 산란 관찰 지점은 지리산 3곳, 월출산 1곳, 무등산 1곳, 월악산 1곳, 소백산 1곳, 치악산 1곳, 설악산 1곳이며, 특히 수원 광교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