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내년 말로 예정된 4대강 보 처리방안 결정에 필요한 폭 넓은 자료 확보를 위해 모니터링 대상을 기존 6개 보에서 14개 보로 확대하고, 이 중 7개보는 13일부터 단계적으로 최대 가능수위까지 확대 개방한다.
지난 6월부터 6개 보*를 개방하였으나 제한적 개방 등으로 인하여 개방 수준에 따른 실제 물 흐름 변화와 수질·수생태계 영향, 보 구조물 상태 등 확인이 곤란하여 충분한 자료확보에 한계가 있었다.
* 낙동강(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금강(공주보), 영산강(죽산보)
이에 따라 모니터링 대상을 6개 보에서 14개 보*로 확대하고, 조사항목‧지점도 추가하는 등 객관적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정밀 모니터링을 추진할 계획이다.
금번 모니터링 확대 대상에서는 강천보‧여주보 제외(상대적으로 한강수계 수질양호, 관리수위에 근접한 취수장 등 고려)
< </span>모니터링 대상 확대 >
우선 동절기 수질악화 등을 보이는 금강‧영산강의 전체 5개 보와 하절기 이후에도 저온성 녹조가 지속되는 낙동강 하류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등 7개 보에 대한 개방과정을 13일 14시부터 착수한다.
* 공주보는 취수장 임시대책 추진 후 수위조절 착수예정
이 중 취수장이 없거나 임시대책이 가능한 금강 3개보(세종‧공주‧백제보)와 낙동강 합천창녕보, 영산강 승촌보는 시설개선과 지하수 영향 등을 관찰하면서 점진적으로 최저수위까지 전면 개방한다.
대규모 생활용수 취수장이 있는 낙동강 창녕함안보는 취수가능 수위까지, 영산강 죽산보는 하한 수위까지 최대 개방할 예정이다.
[11.13일 우선개방 대상 보별 개방수위]
구분 | 낙동강 | 금강 | 영산강 | ||||
합천 창녕보 | 창녕 함안보 | 세종보 | 공주보 | 백제보 | 승촌보 | 죽산보 | |
관리수위, EL.m(A) | 10.5 | 5.0 | 11.8 | 8.75 | 4.2 | 7.5 | 3.5 |
(현 개방(6.1~), EL.m) | (9.5) | (4.8) | - | (8.55) | - | - | (2.5) |
개방수위, EL.m(B) | 2.3 | 2.2 | 8.2 | 2.6 | 1.0 | 2.5 | 1.5 |
수위차, m(A-B) | 8.2 | 2.8 | 3.6 | 6.15 | 3.2 | 5.0 | 2.0 |
특히, 낙동강 하류는 모니터링 확대목적과 함께 창녕함안보에 10월 25일부터 지속되고 있는 조류경보 “경계” 단계 발령에 따른 지역어민 등 피해*에 대한 특단의 조치로 추가개방 대상에 포함되었다.
* 조류경보 “경계”단계 발령시 「수질 및 수생태계법 시행령」에 따라 어류 어획 및 식용, 수영 등 자제권고 조치 시행 중
보 개방은 주변지역 주민과 수생태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목표수위까지 시간당 2~3cm 수준의 속도로 점진적‧단계적으로 진행된다.
개방 과정에서 지하수 이용장애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단계의 수위로 점진적으로 개방하고, 필요에 따라 일시 개방 중단 및 현장조치를 하는 등 신중하게 개방을 진행할 예정이며,
겨울부터 봄까지 이어지는 갈수기에도 주민들의 물 이용에 지장이 없도록 수계별 현장대응팀을 운영하여 개방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주민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다.
이번에 확대 개방하는 7개 보 중 창녕함안보를 제외한 6개 보는 임시 용수공급 대책을 추진하여 내년 영농기 시작 이후에도 개방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