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시민·사회단체들과 정당이 부평 미군기지 '캠프마켓' 토양에서 다이옥신 등 맹독성 물질이 검출된 것과 관련해(뉴스1 10월 27일 보도) 주한미군에 사과와 오염물질의 정화를 요구했다.
인천평화복지연대 등 인천의 62개 시민·사회단체 및 정당들은 30일 캠프마켓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십만명이 사는 도시 한복판에 맹독설 폐기물을 매립하고 장기간 방치한 주한미군을 규탄한다"며 "주한미군은 인천시민들에게 사과하고 오염을 정화한 뒤 반환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부평DRMO(미군 물자 재활용 유통사업소)는 주한미군 폐기물처리재활용시설로 맹독성으로 전세계취급금지물질인 PCBs를 대량 처리했다는 기록이 있다"며 "주민들과 퇴역주한미군은 고엽제까지 처리했다고 증언한다"고 말했다.
이어 "다이옥신이 5m나 되는 깊은 곳에서까지 다량 검출된 것은 고엽제나 맹독성물질 PCBs를 매립 처리했음을 강력하게 시사하는 것"이라며 "결국 이런 의혹들이 모두 사실이었다"고 주장했다.
또 "캠프마켓은 대단위 아파트단지로 둘러싸인 곳이다. 지금까지 주민들은 수십 년간 다이옥신과 PCB 등 맹독성물질들에 노출되어 있었던 것"이라며 "SOFA(주한미군주둔군지위협정) 규정을 적용하더라도 부평미군기지의 환경오염정화 책임은 미군에게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환경부는 1년 전 조사를 마치고 오염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사실을 숨겨왔다. 결국 주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외면한 것"이라며 "이 문제는 국민들의 건강, 재산과 직결된 사안이다. 미군기지의 환경오염자료들도 적극적으로 공개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한·미 양국은 현재 SOFA에 따라 부평구 산곡동의 캠프마켓 부지 48만여㎡ 가운데 23만여㎡에 대한 우선반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2015년7월~2016년3월, 2016년6~9월 두 차례 조사를 진행했다.
환경부는 지난 27일 33개 조사지점 중 7개 조사지점의 토양시료에서 다이옥신류가 1,000pg-TEQ/g을 초과했다고 발표했다.
1000 pg-TEQ/g는 일본의 토양기준치로 우리나라는 아직 다이옥신와 관련한 기준치가 마련돼 있지 않다. 일본 기준으로는 다이옥신의 최고농도가 10배를 초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토양에서 유류·중금속·테트라클로로에틸렌·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등의 오염이 발견되고, 지하수에서 석유계총탄화수소 등이 검출됐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