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기왕 의원
전국 지하시설물의 상당 부분이 여전히 위치조차 확인되지 않은 채 방치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상수도·하수도·전력·가스 등 국민 생활의 근간이 되는 인프라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도심 곳곳이 잠재적 재난 지대로 남아 있는 셈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복기왕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아산을)이 국토정보공사와 공간정보품질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지하시설물 총 53만9,703㎞ 중 성과심사(검증)를 마친 구간은 7만4,972㎞(13.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1만5,000㎞(20%)는 탐지조차 불가능한 ‘불탐 구간’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수년간 예산을 투입해 지하시설물 전산화를 추진해 왔지만, 실제 검증 비율은 14%에 머물렀다. 불탐률 역시 2021년 23%에서 2025년 20%로 3%포인트 줄어드는 데 그쳤다.
시설물별로는 상수관(3만273㎞)과 하수관(2만9,939㎞)의 검증률이 각각 20% 안팎에 머물렀고, 전기(14.3%), 가스(8.3%), 통신(1.4%) 시설은 더 낮았다. 특히 상수관은 불탐 비율이 35%에 달해, 전체 시설 중 가장 위험도가 높았다.

문제는 이런 불탐 구간이 도시 기반시설의 구조적 취약점을 의미한다는 점이다. 공사 과정에서 해당 구간의 배관이나 전력선이 손상되면 가스 폭발, 단전, 지반 침하 같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2014년 서울 송파 싱크홀, 2018년 백석역 열수송관 폭발 등도 정확한 지하시설물 위치 파악 실패에서 비롯됐다.
복 의원은 “비금속관 매설, 다중 매설 구조, 과도한 매설 심도 등 복합적인 원인을 정부가 외면한 결과”라며 “불탐 구간은 국민의 발밑을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재난 위험지대”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토교통부는 실질적인 재탐사 예산 확보와 첨단 지중레이더 장비 도입, 비금속관 탐지 기술 개발 등 근본적인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이 ‘지도상 완료’에 그쳐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 위치 검증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데이터가 부정확해, 사고 예방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결국 국민이 걷는 도시의 발밑은 여전히 ‘깜깜한 블라인드존’으로 남아 있다.
새
나뭇가지에 가려 보기 힘든 새(사진=추현욱 기자)
GTX 운정 풍경
광주시, 고려인주민 지원사업 국비 1억여원 확보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광주광역시는 재외동포청 ‘2026년 지역별 재외동포 정착지원 공모’에 ‘고려인주민 광주정착지원사업’이 선정, 국비 1억1670만원을 확보했다.‘고려인주민 광주정착지원 사업’은 광주지역 고려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광주시는 올해 국비 1.
광주소방, 무등산서 가을철 안전산행 캠페인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는 26일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탐방안내센터에서 안전한 산행 문화 확산을 위한 ‘2025 가을철 산악안전의 날’ 행사를 개최했다.행사에는 광주소방안전본부·동부소방서·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무등산119시민산악봉사대·의용소방대 등 70여 명이 참여해 ▲등...
광주광역시, ‘독도의 날’ 기념 실시간 독도 영상 송출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광주광역시는 ‘독도의 날 ’지난 (10월 25일)을 맞아 시민들의 독도 인식 제고를 위해 시정홍보 전광판에 실시간 독도 영상을 송출했다. 지난 25일 오전 10시 25분부터 서구 금호동 빛고을국악전수관, 빛고을로 입구, 농성역사 등에 설치된 대형 전광판을 통해 독도의 생생한 모습을 공개한 것이다.이번 영상은 .
‘로맨스스캠’피해액 1,000억 원 돌파... 검거율은 50%도 안돼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올해 ‘로맨스스캠’(연애 빙자 사기) 피해액이 1,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1월~9월) 로맨스스캠 피해액은 1,000억 원, 피해 사건 수는 1,565건으로 집계됐다. 지난해(2월~12월) 대비 피해액은 325억 원(48%), ..
광주서부교육지원청, 한국-싱가포르 ‘다가치’ 국제 교류
[뉴스21통신/장병기 기자] 광주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이하 광주서부교육지원청)은 20~25일 4박6일 일정으로 싱가포르 일대에서 ‘글로벌 리더 다가치 세계 한 바퀴 프로그램’을 운영했다.이번 프로그램은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성을 높이고 다문화 감수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자 마련됐다.프로그램에는 싱가포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