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0년 4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 2,184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3,376만톤) 대비 8.9% 감소(‘20년 1~4월 누적 4.1%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수출입 물동량은 코로나 19로 인한 봉쇄조치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1억 1,699만톤) 대비 11.6% 감소한 총 1억 345만톤으로 집계되었다.
‘20.4월은 2월(1.7%↓)과 3월(4.8%↓)에 비해 전년 동월 대비 감소폭이 확대되어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안 물동량은 총 1,839만톤으로 전년 동월(1,677만톤) 대비 9.6% 증가하였다.
인천 지역 모래 채취허가 재개(’19.10)에 따라 모래 물동량이 259만톤(연안 물동량의 14.1%)으로 전년 동월(28만톤) 대비 크게 증가한 것이 원인이다.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3.0%, 16.4%, 8.7% 감소하였으나, 울산항은 4.4% 증가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모래는 증가하였으나 유류, 광석, 유연탄, 자동차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6.7%, 0.7%, 5.5%, 20.0% 감소하였다.
전국항만의 4월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감소세가 이어져 전년 동월(249만TEU) 대비 2.5% 감소한 243만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화물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3.9% 감소한 139만TEU를 기록하였다.
중국의 항만운영 정상화에 따른 물량 증가에도 불구,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전반적인 교역량 감소로 139만 TEU(3.9%↓) 처리에 그쳤다.
환적화물은 얼라이언스 재편으로 광양항 물동량이 크게 감소(31%↓)하였으나, 부산항 소폭 증가(0.5%↑)와 인천항 글로벌 선사 신규항로 개설 등에 따른 물량 증가(145%↑)로 전체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소폭 감소(0.5%↓)한 103만TEU를 기록하였다.
한편, 전년 동기 대비 적(積) 컨테이너 처리 실적은 감소(3.5%↓)하고, 공(空) 컨테이너 처리 실적은 증가(32.5%↑)함에 따라, 컨테이너 화물중량(내품) 기준, ‘20년 1~4월 누적기준 16,613만톤으로 감소(9.0%↓)하였다.
특히, 월별로 감소폭이 확대되고 있어, 코로나19의 영향이 점차 본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항만별로 살펴보면, 부산항은 전년 동월(186만TEU) 대비 2.4% 감소한 182만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 화물은 부산항의 교역 상위 10개 국가 중 중국과 수출입 물동량이 8.6% 증가한데 반해 미국(2.6%↓), 일본(2.6%↓)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수출입 물동량 감소에 따라 4월 물동량은 5.5% 감소세를 보였다.
환적화물은 중국의 단계적인 생산라인과 항만 정상화에 따른 수출입 물동량 증가폭 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0.5% 증가한 98만TEU를 처리하였다.
광양항은 전년 동월(20만TEU) 대비 10.4% 감소한 18만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화물은 코로나19의 영향 본격화 및 조업일수 감소(전년대비 ▲2일)로 전년 동월대비 7천TEU(4.2%↓) 감소한 149천TEU를 처리하였다.
환적화물은 선사들의 광양항에 대한 서비스 축소 및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임시 결항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0% 감소한 3만TEU를 처리하였다.
인천항은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시아 국가 교역량이 감소하였으나, 신규항로 물량 증가와 공컨 수출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27만TEU) 대비 0.9% 증가한 28만TEU를 기록하였다.
특히 글로벌선사 신규 항로 개설 등에 따른 환적 물동량 증가(6천TEU, 115.9%↑)와 중국 청도, 천진 등 항만과의 교역량 증가 영향(170천TEU, 0.6%↑)으로 전체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증가하였다.
2020년 4월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8천 213만톤으로 전년 동월(8,737만톤) 대비 6.0% 감소하였으며, 광양항과 인천항은 감소세를 나타낸 반면, 울산항과 평택·당진항은 증가세를 보였다.
울산항은 전년 동월(1,549만톤) 대비 4.9% 증가한 1,626만톤을 기록하였다.
화공품과 자동차 수출입 물동량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유류 물동량은 증가하였다.
평택?당진항은 전년 동월(853만톤) 대비 0.4% 증가한 856만톤을 기록하였다.
자동차 수출, 철제 수출입 물동량은 크게 감소하였으나, 광석과 자동차의 수입 물동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광양항은 전년 동월(2,246만톤) 대비 15.5% 감소한 1,897만톤을 기록하였다.
자동차의 수출입 물동량은 증가하였으나, 유류의 수출입, 유연탄과 광석의 수입 물동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 광석, 유연탄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6.7%, 0.8%, 5.5% 감소하였다.
유류는 울산항 수출입 물동량은 증가하였으나, 광양항과 대산항의 수출입 물동량이 감소하여 전년 동월(3,962만톤) 대비 6.7% 감소한 3,697만톤을 기록하였다.
광석은 평택·당진항과 포항항의 수입 물동량은 증가하였으나, 광양항의 수입과 동해·묵호항의 수출입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월(1,081만톤) 대비 0.8% 감소한 1,073만톤을 기록하였다.
유연탄은 태안항, 하동항의 수입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광양항, 인천항, 대산항의 수입 물동량이 크게 감소한 영향으로 전년 동월(1,010만톤) 대비 5.5% 감소한 954만톤을 기록하였다.
김준석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3월 이후 코로나19 글로벌 확산에 따라 4월부터 수출입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는 등 코로나19의 영향이 본격화된 것으로 파악된다”라며, “향후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되어 정상화 될 때까지 업계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가능한 모든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아특법 연장으로 ‘亞문화중심도시 광주’ 완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아특법)에 따라 문화중심도시 조성 사업 종료가 3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아특법을 개정해 사업 시기를 연장,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를 완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28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의 미래와 아.
남구 새마을회, 2025년 사랑의 김장 담그기 행사 실시
[뉴스21 통신=최세영 ]▲ 사진제공=울산광역시남구청남구새마을회(회장 황병철)는 남구청 후생관 앞 주차장에서 따뜻한 손길이 더욱 필요한 동절기를 맞아 ‘사랑의 김장으로 김장담그기 행사’를 실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26일과 27일 2일간 일정으로 소외되는 이웃이 없는 밝고 인정 넘치는 행복남구 건설을 위해 마...
대만 인기 유튜버 초청 울산시 관광 홍보 사전답사여행 진행
[뉴스21 통신=최세영 ]▲ 사진제공=울산광역시울산시는 인지도 높은 대만 유튜버 차이아까(蔡阿嘎) 팀을 초청해 11월 27일부터 28일까지 1박 2일간 울산의 주요 관광지를 홍보하는 사전답사여행(팸투어)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11월 24일부터 28일까지 울산·부산·경남의 주요 관광지 등 동남권 관광 활성화를 위해 해당 ...
세금 납부로 적립하는 ‘세금 포인트’…제부도 케이블카·단양 관광지에서도 사용 가능
납세자가 세금을 성실히 낼 때 적립되는 세금 포인트의 활용 범위가 대폭 확대된다. 국세청은 지난 14일 경기 화성시 제부도 해상케이블카 ‘서해랑’과, 18일 충북 단양 관광공사와 각각 세금 포인트 사용처 확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세금 포인트는 개인 납세자와 조세특례제한법상 중소기업이 종합소득세, 양도소...
“성범죄 의혹 의원이 어떻게 시민을 대표하나” 무소속 한채훈, 강제추행 재판에 사퇴 요구 거세져
[뉴스21 통신=홍판곤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따르면 한채훈 의원은 지난 24일 형사20단독 재판부에서 강제추행 혐의로 3차 공판을 받았다. 한 의원은 지난해 7월 4일 밤, 서울 강남의 한 주점 화장실에서 여성을 추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검찰은 당초 벌금 1,000만 원 약식기소 처분을 내렸으나, 이후 정식재판으로 넘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공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