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남북 공동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 추진 - 보훈처, 3·1운동 및 임정 100주년 26개 기념 사업 - 4월 11일 임정 100주년 기념식·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편찬 등 최돈명
  • 기사등록 2019-01-15 10:30:03
기사수정



올해 안중근 의사 유해 남북 공동 발굴과 3·1운동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등의 사업이 추진된다.


국가 보훈처는 ‘기억과 계승, 예우와 감사, 참여와 통합’을 100주년 추진방향으로 설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를 위해 ▲기억과 계승 12개, ▲예우와 감사 8개, ▲참여와 통합 6개 사업 등 3대 분야 26개의 주요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특히 남북 공동으로 안중근 의사 유해 발굴을 추진하고, 효창공원과 독립의 언덕을 애국선열의 얼이 숨 쉬는 역사적 성지로 조성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러시아 지역의 대표적 독립운동가인 최재형 선생의 우수리스크 생가 복원을 비롯해 재개관 이후 13년이 지난 미국 서재필 기념관의 전시물 교체와 기념관 재보수, 2·8독립선언 기념관 전시 시설 개선도 진행된다.



▲ 2017년 12월 중국을 국빈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충칭 연화지에 위치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를 방문해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한 모습.(사진=청와대)



올해 100주년에는 국외 안장 독립유공자의 유해 봉환 위수를 기존 2위에서 5위로 늘리고 행사규모도 확대할 예정이다.


국외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 등 초청 사업도 큰 폭으로 확대된다. 


보훈처는 국외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에 대한 예우와 보답을 실천하기 위해 초청 규모를 예년 40여 명에서 240여 명으로 대폭 늘리고, 초청국 역시 카자흐스탄과 멕시코, 쿠바 등으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임시정부 요인 후손을 비롯해 여성·부부 독립운동가, 외국인 독립유공자 후손, 해외에서 한국 독립운동 역사 발굴과 선양에 기여한 인물 등도 초청한다.


피우진 보훈처장은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은 대한민국이 걸어온 지난 100년을 기억하고 계승하며 이를 토대로 모든 국민이 함께 ‘새로운 희망의 미래 100년’을 만들어 가는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올해 추진되는 각종 사업을 통해 보훈가족은 물론 모든 국민이 ‘따뜻한 보훈’을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인 만큼, 국민들께서도 많은 관심과 참여, 성원을 부탁드린다.”라고 덧붙였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8456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아산시 공무원 학습동아리 ‘스마트퓨처스’, 스마트팜 선진농업 견학
  •  기사 이미지 아산시,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민원 대응체계 구축 위한 교육 시행
  •  기사 이미지 아산시, 고불 인문학 아카데미 세 번째 이야기 ‘르네상스 인문학의 힘’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