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3~6월 가동을 중단했던 전국 5기 노후 석탄발전소(충남 2기, 경남 2기, 강원 1기)의 대기질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충남지역에서 초미세먼지(PM2.5) 농도 개선 효과가 컸다고 발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충남(27곳)에서 초미세먼지 농도를 실측한 결과, 이번 가동 중단기간의 충남지역 초미세먼지 농도가 2015년과 2016년 3~6월 평균치 비해 24.1%인 7㎍/㎥가 감소(29 → 22㎍/㎥)한 것으로 나타났다.
석탄발전소 가동 중단에 따른 초미세먼지 농도 저감효과는 충남지역 최대 영향지점인 보령에서 6.2%인 1.4㎍/㎥(22.5 → 21.1㎍/㎥)으로 감소했다.
이 지역의 단기간 가동중단에 따른 초미세먼지의 감소 효과는 일 최대 18.7%(7.1㎍/㎥), 시간 최대 15.7%(25.7㎍/㎥) 감소로 나타났다.
< </span>배출량 저감 >
노후석탄 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으로 저감된 초미세먼지는 충남 487톤, 경남 474톤, 강원 94톤으로, 총 1,055톤*의 초미세먼지가 줄었다.
* ‘17년 석탄발전소 초미세먼지 배출량 4개월분(8,984톤)의 약 11.7%
또한, 2016년 발전량당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온실가스 531만 5천 톤이 저감된 것으로 분석됐다.
배출량 저감으로 인한 사회적비용 감소 효과는 초미세먼지 2,922억 원*, 온실가스 2,232억 원** 등 총 5,154억 원으로 추정된다.
* (초미세먼지) 2.77억원/톤 : 대기오염물질 사회적 비용 재평가 연구(KEI, 2015)
** (온실가스) 0.42억원/천톤_CO2 : Social Cost of Carbon(US EPA, 2016, 환율 1$=1,000원)
< </span>노후석탄화력 가동중단(`18.3~6월)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량 >
(단위 : 톤, 천톤/CO2e)
| PM2.51) (1+2차) | | | | 온실가스 |
총먼지(TSP) | 황산화물 | 질소산화물 | |||
합 계 | 1,055 | 109 | 1,909 | 4,089 | 5,315 |
충남/보령2기 | 487 | 37 | 967 | 1,615 | 2,414 |
경남/삼천포2기 | 474 | 61 | 846 | 1,793 | 2,474 |
강원/영동1기 | 94 | 11 | 96 | 681 | 427 |
1) 총먼지 66%, 황산화물 34.5%, 질소산화물 7.9%가 초미세먼지(PM2.5)로 전환
배출량 저감량은 가동 중지된 5기 노후 석탄발전소(충남 보령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