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9년부터 2018년 8월까지 10년간 한국조폐공사에서 제조한 은행권(지폐) 전체 66억장 중 3억 3,700만장 이상이 제조불량으로 소각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조폐공사가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기획재정위원회, 김포시갑)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 화폐제조과정에서 발생한 손품, 즉 인쇄불량이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 및 공급수량 대비 은행권 손율이 10년 간 평균 4.8%로, 소각으로 인한 손실이 제조단가 기준 약 460억 원에 달한다. 해마다 3천370만장이 인쇄불량 등으로 소각 처리되어 46억 원이 증발되는 셈이다.
2009년의 경우 손율이 9.8%로 평균의 두 배 가까이 높았고 약 10억장 중에 1억장 가량이 불량으로 결국 소각 처리됐다.
손품화폐 처리방식이 비용대비 효율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현재 불태워 없애는 소각처리로 진행된다. 즉 460억 원이 증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