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 수생태계 건강성이 보 설치 전과 비교해 전반적으로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장관 김은경)와 국립환경과학원은 15개의 보가 설치된 4대강 수계 22곳의 수생태계 건강성을 보 설치 전과 비교 평가한 결과, 건강성 평가 등급이 어류의 경우 5개 보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하 저서동물)은 10개 보에서, 부착돌말류는 4개 보에서 하락했다고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진은 15개의 보가 설치된 4대강 수계 22곳에 대해 어류, 저서동물, 부착돌말류 등 3개 항목별 건강성을 보 설치 전(2008~2009년)과 후(2013~2016년)로 비교 분석하여 ‘매우 좋음 A’부터 ‘매우 나쁨 E’까지 5등급*을 매겨 평가했다.
* 매우 좋음(A), 좋음(B), 보통(C), 나쁨(D), 매우 나쁨(E)
평가 대상 4대강 15개 보는 한강 3개(강천보, 여주보, 이포보), 낙동강 7개(상주보, 낙단보, 구미보,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금강 3개(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영산강 2개(승촌보, 죽산보)이다.
이번 비교 분석에서 보 공사기간인 2010년에서 2012년까지는 제외되었으며, 낙동강의 경우 칠곡보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조사를 지속한 곳이 없어 빠졌다.
다만 보가 설치되어 생태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정되는 4대강 수계의 조사지점은 모두 52곳이나 보 설치 전후를 비교할 수 있는 곳으로 분석 지점 22곳이 선정됐다. 지점이 2곳 이상 선정된 보는 강정고령보, 창녕함안보, 승촌보 등 5개다.
< </span>보 설치 전(’08~’09년), 후(’13~’16년) 평균 건강성 등급 비교 >
15개의 보 설치 전후 어류의 건강성을 비교한 결과 이포보, 낙단보, 강정고령보, 세종보, 공주보 등 5개의 보에서 건강성 등급이 하락했다. 한강 2개, 낙동강 5개, 금강 1개, 영산강 2개 등 나머지 10개의 보는 건강성 등급이 같았다.
다슬기 등 저서동물은 한강 3개, 낙동강 4개, 금강 2개, 영산강 1개 등 10개의 보에서 등급이 하락했다. 달성보와 공주보에서 등급이 개선되었고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승촌보 3개의 보는 등급이 같았다.
수질오염지표로 사용되는 땅콩돌말속 등 부착돌말류는 달성보, 창녕함안보, 공주보, 백제보 등 4개의 보에서 등급이 하락했다. 세종보에서는 등급이 개선되었고, 나머지 10개 보는 등급이 같았다.
< 15</span>개 보의 보 설치 전(’08~’09년)・후(’13~’16년) 평균 건강성 등급 변화 >
조사항목 | 개선된 보 | 동일한 보 | 하락한 보 |
어류 | 0개 | 10개 | 5개 |
저서동물 | 2개 | 3개 | 10개 |
부착돌말류 | 1개 | 10개 | 4개 |
※ 칠곡보는 ’08년부터 조사를 지속한 지점이 없어 분석에서 제외 |
보 설치 후 건강성이 가장 크게 하락한 보는 세종보이며, 어류는‘좋음 B’에서 ‘나쁨 D’ 등급으로, 저서동물은 ‘보통 C’에서 ‘매우 나쁨 E’ 등급으로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