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엠(GM) 노사가 28일 임단협 본교섭을 재개한다. 그러나 여전히 입장차가 커 쉽지 않은 교섭이 될 전망이다.
사측은 '임금동결', '승진유보' 등의 내용이 담긴 교섭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노조는 군산공장 회생과 같은 고용안전 대책을 요구하고 있어 교섭이 제대로 이뤄질지도 미지수다.
한국지엠은 28일 오전 10시부터 부평공장에서 ‘2018년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을 위한 노사간 3차 교섭을 실시한다고 27일 밝혔다. 노사는 이달 7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8일까지 2차 본교섭을 진행했지만 13일 사측의 군산공장 폐쇄 발표 이후 노조가 사측의 교섭 제안에 불응하면서 협상에 난항을 겪었다.
특히 이달 22일 사측이 각 부서 팀장급 직원을 대상으로 노조에 제시할 임단협 교섭안 내용이 일부 공개되면서 교섭이 교착상태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컸다.
사측의 교섭안에는 올해 임금을 동결하고 성과급 지급과 승진을 유보하는 내용과 함께, 향후 회사 수익에 따라서 인금 인상을 조정하는 방안이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명절과 창립기념일에 제공되던 각종 포인트의 지급을 유보하는 한편, 통근 노선에 이용료를 징수하는 등 복리후생을 대거 축소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반면, 노조는 임금 문제를 양보할 수 있다 면서도, 군산공장 문제와 신차 배정 등의 사안에 대해 GM과 사측이 먼저 대안을 제시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양측의 시각차가 커 28일 교섭이 재개되더라도 양측의 입장차만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한국지엠 경영 정상화의 첫 실마리가 임단협 결과에 달려 있다고 본다. GM이 회사 정상화를 위해 한국지엠의 고임금·저생산성 문제 해결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고, 정부 역시 주주, 채권자를 비롯해 노조까지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고통분담을 경영 정상화 지원을 위한 원칙으로 제시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노사간 임단협 결과가 실사 이후 GM과 정부가 내놓을 정상화 방안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양측이 전향적인 자세를 보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