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MB 아들 이시형 16시간 조사 후 귀가 - 다스 실소유주 의혹·일감 몰아주기·비자금 조성 정황 등 추궁 - 이상은 다스 회장 조사 후 MB 소환으로 수사 3월 마무리 김만석
  • 기사등록 2018-02-26 11:04:02
기사수정


▲ 이시형 다스 전무가 26일 새벽 검찰 조사를 마친 뒤 귀가하고 있다.




다스 실소유주 의혹의 핵심 인물인 이명박(77) 전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40) 다스 전무가 검찰에 소환돼 16시간에 걸친 조사를 받고 귀가했다.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신봉수 부장검사)는 25일 오전 10시부터 이튿날 오전 2시께까지 이 전무를 상대로 자동차 부품회사 다스의 경영비리 정황과 다스의 실소유주 의혹 등을 추궁했다.


이 전무는 2013년 전후 이 전 대통령의 친형이자 다스 최대주주인 이상은 다스 회장의 아들 이동형 부사장을 누르고 회사 경영의 실권을 차지하면서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 전 대통령이 아니냐는 의혹을 불렀다.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이 외견상 다스 보유지분이 없는데도 이 전 대통령이나 이 전무 측에 이익이 흘러간 단서를 다수 확보하고 이 전무를 상대로 사실관계를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무가 이상은 회장의 도곡동 땅 매각 자금 150억원 중 10억원 이상을 가져간 의혹에 대해서도 그를 상대로 구체적인 배경을 추궁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곡동 땅은 이 회장과 이 전 대통령의 처남 고 김재정씨가 공동 보유하다가 1995년 포스코개발에 263억원에 매각했다. 매각 자금 중 이 회장 몫이 이 전무나 이 전 대통령 측에 흘러들어 간 정황을 파악한 검찰은 땅의 실제 주인을 이 전 대통령으로 의심한다.


이와 함께 검찰은 이 전무가 대주주인 관계사 에스엠과 다온(옛 혜암) 등에 다스가 일감을 몰아줘 막대한 이익을 안긴 정황, 다온에 다스 관계사 금강, 다스 자회사 홍은프레닝이 50억원이 넘는 대출을 부당하게 지원한 이유도 캐물었다.


법조계에서는 이 전무가 경영에 관여하는 관계사와 다스 사이의 거래 정황이 '일감 몰아주기를 통한 회사 우회 상속'의 전형적 형태라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현재 참고인인 이 전무에게 배임·탈세 등의 혐의가 적용될 가능성도 점친다.


‘다스 연결고리’인 이 전무가 검찰 조사를 받으면서 관련 수사는 마무리 수순에 접어든 것으로 볼 수 있다. 검찰 안팎에서는 3월 초에서 중순 사이 이 전 대통령이 직접 출석해 조사를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전 대통령이 다스 실소유주라고 사실상 결론을 낸 검찰은 평창동계올림픽 폐막과 함께 이 전 대통령 소환 조사의 시기와 방식 등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6206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포토뉴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