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10일 오전 11시(현지시간) 오슬로 노벨평화센터에서 노벨평화상 수상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사진=노벨위원회 홈페이지)
영국 일간 가디언은 9일(현지시간) 노르웨이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불발이 양국 관계에 미칠 파장에 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노벨위원회는 지난 6일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를 결정했다. 결정 시점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 구상’을 기반으로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휴전에 합의하기 이틀 전이었다. 위원회의 독립성과 결정 절차를 고려할 때,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수상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집착은 꾸준히 이어져 왔다. 그는 집권 1기 시절부터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아무 업적도 없이 평화상을 받았다”고 공개적으로 불만을 토로했고, 2018년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세계 언론과 지식인들이 나에게 평화상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0년에는 중동 ‘아브라함 협정’ 체결 직후 트위터에 지지자들이 만든 “트럼프에 평화상을”이라는 캠페인 영상을 직접 공유하기도 했다.
이번에도 그는 수상자 발표를 하루 앞둔 자리에서 “역사상 누구도 9개월 만에 8개의 전쟁을 해결한 적이 없었다. 나는 8개의 전쟁을 멈췄다”고 강조하며 사실상 자천(自薦) 발언을 내놓았다.
노르웨이 현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수상에 실패할 경우 예측 불가능한 보복 행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언론인 하랄드 스탕알레는 “트럼프가 보복에 나선다면 관세 부과, NATO 분담금 인상, 심지어 노르웨이를 적대국으로 규정하는 방식으로 드러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노르웨이 사회주의좌파당(SV)의 키르스티 베르그퇴 대표 역시 “노벨위원회는 정부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트럼프가 그 사실을 이해할지는 의문”이라며 “어떤 반응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