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중국 권력서열 2위인 리창 국무원 총리가 참석한다. 북한과 중국은 행사 사흘 전인 7일, 리 총리의 방북 계획을 동시에 발표하며 고위급 교류를 공식화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리창 총리가 대표단을 이끌고 경축 행사에 참석하고 북한을 공식 우호 방문한다”고 보도했다. 중국 외교부 역시 홈페이지를 통해 같은 내용을 공지하며 “북중관계를 공고히 발전시키는 것은 중국 당과 정부의 확고부동한 전략적 방침”이라고 밝혔다. 리 총리의 방북 일정은 9일부터 11일까지다.
이번 방북은 지난 2015년 노동당 창건 70주년 행사 당시 중국 권력서열 5위 인사가 참석했던 것과 비교해 격이 크게 높아진 것이다. 전문가들은 “시진핑 주석이 직접 평양을 찾지는 않지만, 2인자인 리 총리를 파견하는 것은 최대한의 성의를 보인 것”이라며 “경제 실무를 총괄하는 리 총리의 성격상 북중 간 실질적 경제 협력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한다.
북중러의 밀착도 확인된다. 러시아에서는 푸틴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2인자’로 불리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이 행사에 참석한다. 베트남에서는 최고 권력자인 또 럼 공산당 서기장이 직접 방북하며, 이는 베트남 최고지도자의 북한 방문으로는 18년 만이다. 라오스 역시 국가 주석이 참석할 예정이다.
사회주의권 국가들이 5·10년 단위 ‘정주년’을 성대히 치르는 전통에 따라, 북한은 이번 열병식을 역대 최대 규모로 준비하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집권 14년 차를 맞는 해인 만큼, 이번 행사를 통해 대내적으로 체제 결속을 강화하고 대외적으로는 북중러 삼각 연대를 과시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평가다.
특히 이번 열병식은 오는 10일, 한국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불과 3주 앞둔 시점에 열린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북중러 연대를 통해 사회주의권 국가의 결속을 보여주는 동시에 APEC 무대를 견제하려는 전략”이라고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