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 SNS
“전통 장류의 뿌리가 뽑히고 소비자 알 권리가 훼손될 수 있다.”
10일 국회에서 열린 ‘장류 식품공전 개악 저지를 위한 토론회’와 기자회견에서 쏟아진 목소리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추진 중인 ‘장류 식품공전 개정안’은 현행 간장 분류를 통합·단순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간장은 ▲한식간장 ▲양조간장 ▲산분해간장 ▲효소분해간장 ▲혼합간장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있는데, 개정안은 한식간장과 양조간장을 묶어 ‘간장’으로, 산분해간장과 효소분해간장은 ‘소스류-아미노산액’으로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혼합간장은 별도 ‘조미간장’ 신설이나 ‘혼합장’ 포함 방안이 검토 중이다.
이에 대해 시민사회·학계·야당은 “이번 개편은 단순한 행정 정비가 아니라, 우리 전통 장문화를 훼손하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반발했다. 대책위에 참여한 소비자단체와 장류 협회는 “콩을 염산으로 분해해 불과 며칠 만에 생산하는 산분해간장은 간장이 될 수 없다”며 “된장·고추장·간장·메주 등은 소비자가 명확히 구분할 수 있도록 분류가 유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한식메주, 한식간장, 한식된장은 그 이름 자체가 지켜야 할 가치”라며 “전통을 지키는 일은 곧 우리 먹거리를 지키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권대영 전 한국식품연구원장은 발제에서 “2008년 어렵게 장류를 별도 분류체계로 정립했는데, 다시 이를 없애겠다는 것은 전통을 스스로 무시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식약처는 이번 개정이 장류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290여 개 식품 유형 전체를 단순화하기 위한 연구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아직 확정된 사안은 아니며 학계·업계 의견을 수렴 중”이라고 선을 그었다.
논란이 가열되는 가운데, 장류 분류 개편이 단순한 행정 효율화인지, 전통 장문화의 위협인지는 앞으로의 공청회와 논의를 통해 가려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