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부터 지하철 시위를 재개한 장애인 단체, 장애인들이 집단 거주시설이 아니라 지역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이른바 '탈시설 권리'를 정부가 보장할 것을 요구한다.
시설 체류 경험이 있는 장애인들은 열악한 환경을 지적한다.
발달장애가 있는 도세진 씨는 13년간 거주시설에 머물다 7년 전 시설 밖으로 나왔지만, 여전히 그 시절을 '악몽'으로 기억하고 있다.
세진 씨는 퇴소 뒤 자립생활주택에서 6년간 적응 기간을 거쳐 지난해 4월부터 서울시가 제공한 지원 주택에 정착했다.
장애 정도와 상황이 각자 다른 만큼 거주시설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탈시설 방향은 바람직하다면서도 "일률적으로 강제하는 것은 섣부르다"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반복되는 지하철 탑승 시위가 사회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는 만큼 정부가 분명한 청사진을 제시하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