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강제로 연휴에 당직 병원을 지정할 수 있다고 하면서 의료계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응급실 운영이 대부분 문제없다고 했다. 응급실 99%가 운영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전공의의 병원 이탈로 응급실에 근무하는 의사는 평시 대비 73% 수준이라고 했다.
하지만 의대 교수들은 이미 응급실이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고 주장했다.
현재 전국 57개 대학병원 응급실 중 대부분의 곳에서 영유아 내시경이 안 된다는 것이다. 또 흉부대동맥 수술과 분만이 안 되는 곳도 적지 않다고 했다.
정부의 당직 병원 강제 지정도 논란이 되고 있다. 정부는 추석 연휴 동안 당직 병원이 부족하면 직접 지정해 문을 열도록 통보하겠다고 했다. 이를 따르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다고도 했다.
한 정통 방송국은 정통령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이 " 평균적으로 한 3500~3600개 정도의 기관이 문을 열기는 했었고요. 그런 정도의 신청이 들어오지 않을까. 다만 신청이 부족할 경우에는 직접 정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개원의들은 정부가 일방 통보로 개인의 자유와 휴식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김택우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장은 "만약에 강제 지정이 된다면 법적인 조치를 같이 취할 부분도 생기겠다 (생각이 듭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