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직자들이 면접을 보기 위해서 교통비 등 지출해야 할 비용이 적지 않지만, 채용 시 면접비를 지급하는 기업은 10곳 중 3곳뿐 인 것으로 조사됐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기업 400개사를 대상으로 ‘면접비 지급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면접비를 지급하는 기업은 27.8%에 불과했다.
기업 유형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은 절반 이상(56.5%)이 면접비를 지급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21.8%만이 면접비를 지급한다고 답해 격차가 컸다.
면접자에게 제공하는 면접비는 평균 3만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조사 결과인 3만 3천원 보다도 3천원 적었다.
기업형태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이 3만 7천원, 중소기업이 2만 8천원을 지급하고 있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중소기업은 3천원, 대기업은 무려 1만 7천원이 감소했다.
면접비는 ‘응시자 전원에게 동일 지급’(63.1%)한다는 기업이 가장 많았으며, ‘전원 지급하나 거주지역에 따라 차등지급’(21.6%), ‘원거리 거주 응시자만 지급’(15.3%) 순이었다.
면접비를 지급하는 이유로는 ‘지원자의 참여에 대한 정당한 대가라서’(53.2%,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구직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27.9%), ‘기업 이미지 관리 차원에서’(23.4%), ‘우수인재를 확보하기 위해서’(15.3%), ‘면접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14.4%), ‘회사가 지방에 위치하고 있어서’(9.9%) 등의 이유를 들었다.
반면, 면접비를 지급하지 않는 기업(289개사)은 ‘면접비 지급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49.8%, 복수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외에도 ‘비용이 부담스러워서’(26.6%), ‘면접비를 받기 위해 지원하는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15.6%), ‘면접 대상자가 많아서’(13.5%),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영난으로 지급 여력이 부족해서’(10.7%)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특히, 현재 면접비를 지급하지 않는 기업 중 83.4%는 앞으로도 면접비를 지급할 계획이 없다고 답해, 구직자들의 면접 지출 부담 완화는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세금 납부로 적립하는 ‘세금 포인트’…제부도 케이블카·단양 관광지에서도 사용 가능
납세자가 세금을 성실히 낼 때 적립되는 세금 포인트의 활용 범위가 대폭 확대된다. 국세청은 지난 14일 경기 화성시 제부도 해상케이블카 ‘서해랑’과, 18일 충북 단양 관광공사와 각각 세금 포인트 사용처 확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세금 포인트는 개인 납세자와 조세특례제한법상 중소기업이 종합소득세, 양도소...
“성범죄 의혹 의원이 어떻게 시민을 대표하나” 무소속 한채훈, 강제추행 재판에 사퇴 요구 거세져
[뉴스21 통신=홍판곤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따르면 한채훈 의원은 지난 24일 형사20단독 재판부에서 강제추행 혐의로 3차 공판을 받았다. 한 의원은 지난해 7월 4일 밤, 서울 강남의 한 주점 화장실에서 여성을 추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검찰은 당초 벌금 1,000만 원 약식기소 처분을 내렸으나, 이후 정식재판으로 넘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공판을 ...
전남여성장애인연대, 창립 20주년… 여성장애인 권익 향한 새로운 비전 선포
[뉴스21 통신=박민창 ] (사)전남여성장애인연대(대표 문애준, 이하 전남여장연)가 오는 12월 5일 창립 20주년을 맞아 목포 신안비치호텔에서 기념식을 개최한다.전남여장연은 2002년 여성장애인을 중심으로 한 자조모임 ‘소중한 사람들의 모임(소사모)’에서 출발했다. 당시 여성장애인들이 겪는 편견과 차별, 빈곤 문제를 극복하고 목소...
검찰, ‘50억 클럽’ 곽상도 징역 3년·아들 징역 9년 구형
[속보] 검찰 ‘50억 클럽’ 곽상도 징역 3년·아들 징역 9년 구형
경북도,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기관 44개소 선정
경상북도는‘2025년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를 통해 경북 지역 지역사회 공헌 인정기업과 기관 등 총 44개소가 선정되었으며, 경상북도개발공사, 경주시시설관리공단,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디엑스 등 4개소가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과 장관상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올해로 시행 7년째인 지역사회공헌인정제는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