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여성장애인연대, 창립 20주년… 여성장애인 권익 향한 새로운 비전 선포
[뉴스21 통신=박민창 ] (사)전남여성장애인연대(대표 문애준, 이하 전남여장연)가 오는 12월 5일 창립 20주년을 맞아 목포 신안비치호텔에서 기념식을 개최한다.전남여장연은 2002년 여성장애인을 중심으로 한 자조모임 ‘소중한 사람들의 모임(소사모)’에서 출발했다. 당시 여성장애인들이 겪는 편견과 차별, 빈곤 문제를 극복하고 목소...
▲ [이미지 = 픽사베이]그간 내리 감소하던 국내 LPG차 등록 대수가 10년 만에 상승 반전했다. 국토교통부 자동차 등록통계에 따르면 2020년 1월말 현재 LPG차 등록 대수는 모두 202만2935대로 2019년 12월 대비 1215대 늘어났다. 이는 LPG차 등록 대수가 2010년 11월 245만9155대로 최고점을 찍고 내리 감소한 이래 9년 2개월 만에 처음으로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국내 LPG자동차 등록 대수는 2010년 11월 이후 계속 줄어 그간 43만여대 감소했다. LPG차는 일반인이 사용할 수 없고 장애인·국가유공자 등 일부 계층 및 택시 등 차종만 사용하도록 법으로 제한돼 있어 시장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9년 3월 26일 미세먼지 대책의 하나로 LPG차에 대한 규제가 37년 만에 사라졌고 규제 폐지 이후 LPG차 감소세가 둔화되기 시작했다. 2019년 4월부터 12월까지 월평균 LPG차 감소 대수는 1664대로 규제 폐지 전 월평균 감소 대수가 5000대를 웃돌았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2020년 1월에는 마침내 등록 대수가 12월보다 1215대가 증가했다. 이는 규제 폐지로 일반인도 제한 없이 LPG차량을 구매하게 되면서 LPG차 판매 대수가 큰 폭으로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000년대 초중반 급증했던 LPG차의 폐차 물량이 다소 줄어든 것도 LPG차 상승세 전환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무엇보다 미세먼지 문제와 디젤게이트 여파로 경유차 판매가 주춤하고 상대적으로 유지비 부담이 적은 친환경 LPG차량이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된 점이 판매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규제 폐지 이후(’19.4월~12월) LPG차 월평균 판매 대수는 1만2022대로 규제 폐지 직전인 2019년 1분기 월평균 판매 대수 8229와 비교하면 무려 46%가 증가했다. LPG차 판매점유율을 살펴보면 규제 폐지 전인 2019년 1분기 6.8%에 머물렀다가 2분기부터 8.5%, 3분기 9.2%, 4분기 9.9%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현대차 쏘나타, 기아차 K5 등 대중적인 승용차 LPG 모델의 일반인 판매가 늘어났고 특히 국내 유일 SUV LPG 차량인 르노삼성 QM6가 큰 인기를 끌면서 시장을 주도했다. 기아 봉고3 등 LPG 1톤트럭도 정부의 친환경 트럭 전환 지원사업에 힘입어 판매량이 늘면서 힘을 보탰다.
사용 제한 규제를 받아온 탓에 일반인에게는 다소 관심이 멀었던 LPG차가 규제 폐지 이후 경제성을 중요시하는 합리적인 운전자들의 관심을 받고있는 데다 ‘저공해’, ‘가성비’를 내세운 LPG차의 전략이 잘 맞아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미세먼지 주범으로 몰린 경유차와 충전 시간 등 다소 불편함을 감소해야 하는 친환경 전기차 사이에서 고민 중인 소비자들에게 현실적인 대안이 된 것이다.
한편 2019년 국내 LPG 소비량은 2018년 대비 11.3% 증가하며 최초로 1000만톤을 넘어섰다. 경쟁 연료 대비 가격경쟁력이 개선된 석화용(프로판) 및 산업용 수요가 대폭 증가했고 배관망 사업 등의 영향으로 가정 상업용 프로판 수요도 늘어나면서 총 1043.6만톤을 기록했다.
수송용 수요는 2019년까지 차량 등록 대수가 감소함에 따라 전년 대비 줄어들었으나 LPG차 시장의 반등이 기대됨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LPG차 등록 대수는 2010년 246만대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19년 10년간 40여 만대가 줄었다. 하지만 규제 폐지를 기점으로 LPG차 판매가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어 그간의 감소세를 조금씩 회복하고 중장기적으로 턴어라운드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규제 폐지 이후 LPG 신차의 시장점유율을 최대 15%, 평균 10% 수준으로 추정하고 LPG차 운행 대수가 2030년에는 282만대~330만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LPG차 인기의 가장 큰 요인은 저공해성과 경제성이다. LPG차는 미세먼지 배출량이 적고 실제 주행 환경과 비슷한 실외도로 시험에서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경유차의 9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도 탁월하다. 현재 LPG의 전국 평균 가격은 리터당 875원으로 휘발유 가격(1553원)의 56% 수준이다(2월 11일자 오피넷 기준). 차량 연비까지 감안한 LPG의 상대가격은 휘발유의 72% 수준이다.
이필재 대한LPG협회 회장은 “LPG차가 미국에서는 어린이 건강 보호를 위한 스쿨버스로 운행되고 있고 유럽에서는 미세먼지 고농도 시에도 제한 없이 운행 가능한 배출가스 1등급 차량으로 지원받고 있다”며 “환경 부담이 큰 중대형 화물차나 버스 시장에도 진입하여 LPG차가 대기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세금 납부로 적립하는 ‘세금 포인트’…제부도 케이블카·단양 관광지에서도 사용 가능
납세자가 세금을 성실히 낼 때 적립되는 세금 포인트의 활용 범위가 대폭 확대된다. 국세청은 지난 14일 경기 화성시 제부도 해상케이블카 ‘서해랑’과, 18일 충북 단양 관광공사와 각각 세금 포인트 사용처 확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세금 포인트는 개인 납세자와 조세특례제한법상 중소기업이 종합소득세, 양도소...
“성범죄 의혹 의원이 어떻게 시민을 대표하나” 무소속 한채훈, 강제추행 재판에 사퇴 요구 거세져
[뉴스21 통신=홍판곤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따르면 한채훈 의원은 지난 24일 형사20단독 재판부에서 강제추행 혐의로 3차 공판을 받았다. 한 의원은 지난해 7월 4일 밤, 서울 강남의 한 주점 화장실에서 여성을 추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검찰은 당초 벌금 1,000만 원 약식기소 처분을 내렸으나, 이후 정식재판으로 넘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공판을 ...
전남여성장애인연대, 창립 20주년… 여성장애인 권익 향한 새로운 비전 선포
[뉴스21 통신=박민창 ] (사)전남여성장애인연대(대표 문애준, 이하 전남여장연)가 오는 12월 5일 창립 20주년을 맞아 목포 신안비치호텔에서 기념식을 개최한다.전남여장연은 2002년 여성장애인을 중심으로 한 자조모임 ‘소중한 사람들의 모임(소사모)’에서 출발했다. 당시 여성장애인들이 겪는 편견과 차별, 빈곤 문제를 극복하고 목소...
검찰, ‘50억 클럽’ 곽상도 징역 3년·아들 징역 9년 구형
[속보] 검찰 ‘50억 클럽’ 곽상도 징역 3년·아들 징역 9년 구형
경북도,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기관 44개소 선정
경상북도는‘2025년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를 통해 경북 지역 지역사회 공헌 인정기업과 기관 등 총 44개소가 선정되었으며, 경상북도개발공사, 경주시시설관리공단,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디엑스 등 4개소가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과 장관상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올해로 시행 7년째인 지역사회공헌인정제는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
군위군사회복지협의회, 첫 번째 워크숍 성공리 개최
대구 군위군사회복지협의회(회장 박현민)가 지난 27일 대구 비슬산 유스호스텔에서 제1회 군위군사회복지협의회 창립기념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진열 군위군수를 비롯한 관계자, 관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학술세미나 개최, 유공자 표창, 결의 퍼포먼스, 만찬의 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