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시 포스터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배연재)은 올해 10월 22일부터 내년 4월 12일까지 인천 서구 국립생물자원관 기획전시실에서 ‘갯민숭달팽이’ 기획전을 연다.
갯민숭달팽이는 바다에 사는 껍데기가 없는 달팽이류(민달팽이)를 말하며 흔히 후새류라고도 부른다.
독특한 형태와 화려한 색을 갖고 있어 다른 나라에서는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고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바다생물이다.
이번 전시는 국립생물자원관의 ‘미개척 무척추동물(후새류) 발굴연구’사업의 결과물인 영상과 사진 등을 소개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갯민숭달팽이의 다양성과 생존전략을 보여준다.
10월 25일 독도의 날을 맞아 독도 주변에 많이 서식하고 있는 갯민숭달팽이의 생태를 알리고 기념하는 의의도 있다.
전시 도입부인 ‘바닷 속 숨은 보석 찾기 ’에서는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이 바닷 속에 숨겨진 보석 같은 갯민숭달팽이를 조사하고 새로운 종을 발견하는 장면을 영상으로 소개한다.
‘갯민숭달팽이의 분류’, ‘갯민숭이의 살아가기’ 전시물은 연체동물에 속하는 갯민숭달팽이의 분류와 암수한몸, 한살이, 먹이활동 등의 다양한 생태를 다룬다.
‘독특한 갯민숭달팽이’ 전시물에서는 △광합성을 하는 파래날씬이갯민숭붙이, △해파리와 같은 독이 있는 생물을 먹고 그 독침을 몸에 보관했다가 발사하는 불꽃도롱이갯민숭이, △위험에 처하면 몸 일부를 떼버리는 잎갯민숭이와 같은 독특한 생존전략을 소개한다.
전시실 내에는 대형 갯민숭달팽이 봉제 인형과 함께 사진 찍는 공간이 마련되며, 망토를 입고 바닷속 갯민숭달팽이가 되어보는 등의 체험활동도 할 수 있다.
이번 기획전은 살아있는 갯민숭달팽이를 직접 볼 수 있는 수조도 함께 전시된다.
한편, 국립생물자원관은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발견된 갯민숭달팽이 100여 종을 차례로 학술논문에 게재한 후 국가생물종목록에 추가하고 내년에는 ‘한국의 갯민숭달팽이 도감’을 발간할 예정이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많은 관람객이 미지의 생물인 갯민숭달팽이의 아름다움과 다양성을 알게 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라며, "국립생물자원관은 알려지지 않은 우리 자생생물을 찾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세금 납부로 적립하는 ‘세금 포인트’…제부도 케이블카·단양 관광지에서도 사용 가능
납세자가 세금을 성실히 낼 때 적립되는 세금 포인트의 활용 범위가 대폭 확대된다. 국세청은 지난 14일 경기 화성시 제부도 해상케이블카 ‘서해랑’과, 18일 충북 단양 관광공사와 각각 세금 포인트 사용처 확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세금 포인트는 개인 납세자와 조세특례제한법상 중소기업이 종합소득세, 양도소...
“성범죄 의혹 의원이 어떻게 시민을 대표하나” 무소속 한채훈, 강제추행 재판에 사퇴 요구 거세져
[뉴스21 통신=홍판곤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따르면 한채훈 의원은 지난 24일 형사20단독 재판부에서 강제추행 혐의로 3차 공판을 받았다. 한 의원은 지난해 7월 4일 밤, 서울 강남의 한 주점 화장실에서 여성을 추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검찰은 당초 벌금 1,000만 원 약식기소 처분을 내렸으나, 이후 정식재판으로 넘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공판을 ...
전남여성장애인연대, 창립 20주년… 여성장애인 권익 향한 새로운 비전 선포
[뉴스21 통신=박민창 ] (사)전남여성장애인연대(대표 문애준, 이하 전남여장연)가 오는 12월 5일 창립 20주년을 맞아 목포 신안비치호텔에서 기념식을 개최한다.전남여장연은 2002년 여성장애인을 중심으로 한 자조모임 ‘소중한 사람들의 모임(소사모)’에서 출발했다. 당시 여성장애인들이 겪는 편견과 차별, 빈곤 문제를 극복하고 목소...
검찰, ‘50억 클럽’ 곽상도 징역 3년·아들 징역 9년 구형
[속보] 검찰 ‘50억 클럽’ 곽상도 징역 3년·아들 징역 9년 구형
경북도,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기관 44개소 선정
경상북도는‘2025년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를 통해 경북 지역 지역사회 공헌 인정기업과 기관 등 총 44개소가 선정되었으며, 경상북도개발공사, 경주시시설관리공단,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디엑스 등 4개소가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과 장관상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올해로 시행 7년째인 지역사회공헌인정제는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