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연 장면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세종=뉴스21통신]이기운 기자 = 주스페인 한국문화원(원장 이종률)은 5월 22일 오후 8시 30분(현지시각) 아바디아 극장(마드리드)에서 ‘코리아 사운드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유네스코 마드리드위원회(La Comision Nacional Espanola de Cooperacion con la UNESCO)의 후원을 받아 ‘한-스페인 전통음악의 만남 : 판소리&플라멩코’ 공연을 개최했다.
2018 전주세계소리축제 ‘한국의 판소리·스페인의 플라멩코 프로젝트’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된 이번 공연에서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판소리와 플라멩코 간 폭발적인 음악적 상승효과를 관객들에게 선보였다. 공연장 300석은 만석을 이루었으며, 공연 내내 관객석에서는 연신 ‘얼쑤’, ‘올레’와 같은 추임새가 터져 나왔고, 뜨거운 기립박수도 이어졌다.
전홍조 주스페인 한국대사와 유네스코 마드리드위원회 부사무총장 카르멘 피나르 갈란(Carmen Pinar Galan), 스페인 문화체육부 다원문화국 고문관 필라르 토레(Pilar Torre), 마드리드 플라멩코 협회 주요 회원 등 현지 주요 인사들도 대거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번 공연에는 차세대 소리꾼 정보권과 한국 프리 재즈계의 간판으로 꼽히는 피아니스트 미연, 타악기 연주자 박재천이 한국대표로 참가했다. 이들은 스페인 플라멩코의 상징으로 꼽히는 호아킨 루이즈(안무 감독), 사라 라모스(무용), 파즈 데 마누엘(노래), 알베르토 푸엔테스(기타)와 함께, 판소리 다섯마당 중 심청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음악적 협연을 선보였다.
▲ 공연 장면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박재천 전주세계소리축제 집행위원장은 현지 관객들에게 “한국에는 다양한 전통음악이 있는데 그 중 오늘 여러분이 들으실 판소리는 개인의 예술성과 인생 전반에 거쳐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한 성악 장르에 가깝다”라며, “셰익스피어의 사대 비극 같은 명작이 존재하듯이, 한국 판소리 안에도 인간이 한 생을 살아가면서 겪는 감정을 다섯 가지 이야기로 담아낸 작품이 있다. 그 중 오늘 들려드릴 심청가는 맹인 아버지와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려는 딸의 슬프지만 아름다운 이야기를 다룬다. 모든 관객 여러분과 함께해주신 스페인 연주자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라고 밝혔다.
유네스코 마드리드 위원회 부사무총장 카르멘 피나르 갈란은 “절제와 폭발을 넘나드는 창법과 리듬, 드라마틱한 감정표현 등 공통점이 많은 두 예술의 응축된 역사와 철학, 가치를 담아낸 공연이다. 특히 스페인과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무형문화유산을 현대적인 관점에서 변화·발전시켜, 동시대 관객과 진정으로 소통하며 국경을 초월한 ‘오늘의 문화’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문화유산의 무한 가능성을 실히 보여준 프로젝트”라고 호평했다.
스페인 플라멩코의 명인 호아킨 루이즈는 “2012년 전주세계축제에서 박재천 예술가를 비롯해, 우수한 한국인 음악가들과 협연할 기회가 있었는데, 당시 한국장단의 보편성과 강렬한 호소력에 큰 감명을 받았다”라며 “바로 그 점 때문에 판소리와 플라멩코의 만남이 마술과 같은 상승효과를 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예술적 기량과 경험을 총동원해 보다 자연스럽고 정교한 공연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스페인 현지 언론도 판소리와 플라멩코의 이색적인 만남에 큰 관심을 보였다. 플라멩코 전문매체 데플라멩코(DeFlamenco)는 4월 27일, “전통부터 현대까지 시대를 초월해 다문화주의의 정수를 관통하는 공연”이라고 보도했으며, 마드리드 시청 산하 라디오 채널 M21는 5월 22일, 공연에 참가한 예술가들의 심층 인터뷰를 약 15분간 특집 방송했다.
▲ 공연 장면 /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한편 ‘코리아 사운드 페스티벌’은 한국 음악의 다양성을 스페인에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며, 그 첫 문은 한국을 대표하는 미디어 아트팀 ‘태싯그룹(Tacit Group)’이 열었다.
스페인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인 마타데로 복합문화센터가 주관하는 ‘아시아디지털-미디어 페스티벌(FAN Naves)’의 개막식 초청공연을 맡게 된 태싯그룹은 지난 5월 10일과 11일 양일간 오디오비주얼 공연 ‘tacit.perform[0]’과 함께,
현지 언론들도 ‘알고리즘 아트’라는 혁신적인 작품 형식에 큰 관심을 보였다. 스페인 주요 일간지 ABC는 5월 10일, “‘태싯그룹’은 기술을 매개로 예술적 가능성을 탐색하고, 수학적 코드와 시스템을 이용해 즉흥적인 연주를 선보이는 팀”이라고 집중 소개했다. 또한 ‘태싯그룹’은 스페인 공영방송 RTVE 라디오 프로그램 ‘Siglo 21’와 같은 방송사의 테크놀로지 전문 TV 프로그램 ‘Zoom.Net’과 심층 인터뷰도 진행했다.
이종률 문화원장은 “판소리와 플라멩코 등 한-스페인 양국의 전통음악과 무대 예술이라는 문화 접점을 통해 양국 국민들이 서로에 대해 더욱 많이 이해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산사태 위험지 국민이 찾고... 국가가 함께 예방한다!
산사태 위험지 국민이 찾고... 국가가 함께 예방한다!- 주민 참여 사방댐 대상지 공모 결과, 85개소 선정-산림청(청장 김인호)은 기후재난으로 인한 산사태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주민이 직접 사방댐 등 사방사업 대상지를 찾았다고 23일 밝혔다. 산림청은 지난 4월부터 8월까지 ‘주민 참여 사방댐 대상지 공모’를 추진해 산사태 취약...
산림청, 녹색자금 공모사업 선정 결과 발표
산림청, 녹색자금 공모사업 선정 결과 발표- 2026년도 녹색자금 공모사업 총 253개 사업 사업시행자 선정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2026년도 녹색자금 지원사업 총 350억 원 규모, 253개 사업을 최종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녹색자금 사업은 한국산림복지진흥원(원장 남태헌)의 공모로 추진됐으며 △취약지역 녹색 인프라 확충 107건...
산림복지시설에서 만나는 ‘우리 땅, 독도!’
산림복지시설에서 만나는 ‘우리 땅, 독도!’ -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독도의 날 기념 청소년 대상 특별프로그램 운영 ‘독도의 날(10월 25일)’을 맞아 전국의 산림복지시설에서 청소년을 위한 특별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국립장성숲체원에서 진행된 청소년 대상 ‘우리땅 독도!’ 프로그램 사진.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제공..
지난해 임산물 생산액 7조 4천억원... 전년 대비 3.5% 증가
지난해 임산물 생산액 7조 4천억원... 전년 대비 3.5% 증가- 경상북도가 1조 3,866억 원으로 전년에 이어 가장 높아산림청(청장 김인호)은 ‘2024년 임산물생산조사’ 결과 총임산물 생산액은 전년(2023년 7조 1,298억 원)보다 2,487억 원 증가한 7조 3,785억 원으로 조사됐다고 31일 밝혔다. ‘임산물생산조사’는 1976년 국가승인통계(제136006.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 연수팀, 한국의 산림녹화 기술 견학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 연수팀, 한국의 산림녹화 기술 견학- 몽골 산림 공무원 및 나무재단 관계자 등 초청 연수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한국-몽골 산림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일환으로 몽골 산림공무원, 10억 그루 나무 재단(Billion Tree Fund) 등 몽골 산림 관계자 22명을 초청해 지난 27일부터 5일간 한국의 산림 정책과 기술 연수 프로그.
우리나라 최고의 나무베기 장인 선발!
우리나라 최고의 나무베기 장인 선발!- 산림청, 제22회 임업기능인 경진대회 개최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산림조합중앙회 강릉교육원에서 산림관계관, 임업기능인, 산림특성화고 학생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2회 임업기능인 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올해로 22번째를 맞이한 임업기능인 경진대회는 임업기능인.
파주시, 2026년부터 새로운 규격·디자인의 종량제봉투 도입
파주시는 오는 2026년부터 새로운 규격과 디자인의 종량제봉투를 도입한다고 밝혔다.시는 ‘일반용 3리터 봉투’와 ‘재사용(쇼핑 겸용) 5리터 봉투’를 신설했으며, 이번 개선은 1~2인 가구 증가와 외국인 인구 확산 등 인구 구조 변화를 반영해 시민 생활 편의를 제고하고 생활폐기물 관리 체계를 정비하기 위한 것이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