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최근 5년간 산업부 산하 3개 연구기관 연구비 부정사용액 389억원, 환수율은 49%에 불과 - 박범계 국회의원 "연구비 부정사용은 연구원들의‘연구비는 눈먼 돈’이라… - 반드시 환수해서 꼭 필요한 곳에 쓰여야!" 나장용 사회2부기자
  • 기사등록 2018-10-22 19:28:05
기사수정

[뉴스21통신=나장용 기자]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박범계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 서구을)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산하 3개 연구기관(KIAT, KEIT, KETEP)의 연구비 부정사용 현황 및 환수율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부정사용 건수가 250, 금액으로는 389억원에 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부정사용금액에 대한 환수액은 640억원 이었으며 환수율은 49%에 불과했다. 연구기관별 연구비부정사용 현황 및 환수율은 [1]과 같다


[1] 연구비 부정사용 현황 및 환수율 (‘13~’17)

전담기관

KIAT

(산업기술진흥원)

KEIT

(산기평)

KETEP

(에기평)

적발건수

73

128

49

250

부정사용액

107

227

55

389

환수결정액

128

360

153

640

환수액

51

184

78

314

환수율

40.2%

51.2%

51.4%

49.0%

(자료: 산업부)


연구비 부정사용 현황 및 환수율을 살펴보면 연구비 적발건수와 금액, 모두 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이 각각 128, 227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환수율은 40.2%로 산업기술진흥원(KIAT)이 가장 낮았다. 반면 적발건수는 49건으로 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이 가장 낮았지만, 환수율은 51.4%로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다.

    

▲ [국회의원 박범계_대전서구을_더불어민주당]


산업부에서는 연구비 부정사용 방지대책으로 2014년부터 개인에게 제재부과금 부과와 부과율을 상향하고 있으며 연구참여 제한기간을 5년에서 10년으로 확대하고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의한 강제징수를 추진하고 있으나 연구비 부정사용은 줄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부에서는 ‘11.11~’18년 상반기까지 적발된 부정사용 과제 215개에 대하여 9차에 걸쳐 제재 부과금 83억원을 부과하였다. [2]

    

박범계의원은 연구비 부정은 연구원들의 연구비는 눈먼 돈이라는 인식부터 바뀌어야 하며, 반드시 환수하여 꼭 필요한 곳에 쓰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span>첨부자료>

 

[2] ‘11.11~’18년 상반기까지 제재부과금 부과 현황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합계

1

2

3

4

5

6

7

8

9

과제수()

26

28

27

28

40

17

18

18

13

215

부과수()

22

26

17

14

28

10

11

17

15

160

부과금액

(백만원)

734

346

1,475

142

958

2,626

656

978

393

8,308

(자료: 산업부)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7764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관련기사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스미싱 범죄 ‘시티즌코난’, ‘피싱아이즈’ 앱 설치로 예방하자!
  •  기사 이미지 ‘오물 풍선’ 살포에 北 주민들 “창피스러워”
  •  기사 이미지 스미싱! 예방 앱 설치로 막을 수 있습니다.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