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폭염 시 수도권과 부․울․경의 고농도 오존 발생 가능성 커져 - 여름철 폭염(33°C 이상) 시 오존주의보 발령 확률은 전국적으로 증가 - 특히 수도권과 부·울·경은 3~6배 증가 - 지자체와 함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 오존 원인물질 저감 추진 김흥식 본부장/환경부 출입기자
  • 기사등록 2018-07-30 13:23:48
기사수정


▲ 환경부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폭염과 고농도 오존(O3) 발생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지역 간의 차이는 있으나 폭염 시 수도권과 부산울산경남(이하 부) 지역의 오존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올해는 7월 중순부터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이 강해지면서 전국적으로 폭염과 함께 고농도 오존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 오존주의보 다수 발령 지역(’18.7.25 기준): 서울(7.2024), 경기도(7.1824), 부산(7.1315, 7.1819), 울산(7.11, 7.1415, 7.1819, 7.2425), 경남(7.137.20)

 

국립환경과학원이 오존 예보제(전국 통합)가 시작된 이후 최근 4(’15~’18) 동안 7월 중 오존주의보* 발령일수를 비교한 결과, 서울의 경우 올해의 발령일수**5일로 가장 많았다.


* 오존주의보 발령 기준 : 1시간 평균농도가 0.12ppm 이상인 경우

** 서울 7월 주의보 발령일수 : ‘15(없음), ’16(3), ‘17(4), ’18(5)


특히, 올해는 강한 햇빛을 동반한 폭염이 발생하면서 서울의 경우 7월의 오존주의보 발령 연속일수* 5일은 최근 4년 중 가장 길었다.


* 서울 7월 주의보 발령 연속일수 : ’15(없음), ’16(없음), ’17(2), ’18(5)

* 725일 기준, 경기도는 7일 연속, 경남은 8일 연속 발령됨

 

여름철 오존 고농도 계절(6~8) 동안, 폭염일(일 최고기온이 33* 이상)과 비폭염일(25이상 33미만)을 비교 분석**한 결과, 특히 수도권과 에서 폭염 시 오존 나쁨이상인 날(0.091ppm 이상)과 오존주의보(0.120ppm 이상) 발령일이 많았다.


* 폭염주의보(폭염경보)는 일 최고기온 33(35) 이상인 날이 2일 이상 지속 예상 시 발령

** 오존 예보 서비스(전국 통합)가 시행된 ‘15년부터 ’18722일까지 일 최고기온(기상청 자료)과 도시대기측정망 측정소의 1시간 평균 오존농도를 분석

 

수도권과 의 경우, 폭염일의 오존 나쁨이상 발생 비율과 오존주의보 발령 비율이 비폭염일보다 각각 2.0, 4.4배 높았다.

 

특히 수도권에서 폭염일의 오존 나쁨이상 발생 비율(87%, 비폭염 대비 2.3)과 오존주의보 발령 비율(38%, 비폭염 대비 5.5)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오존은 햇빛이 강하고 대기 중에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질소산화물(NOx)이 풍부할 때 빠르게 생성되며 바람이 약하거나 국지 순환(해안가의 해륙풍 등에 의해)되는 경우 고농도로 축적되기 쉽다.

 

특히 강한 햇빛을 동반하는 폭염 시에는 일 최고기온 및 일사량이 높을 뿐 아니라, 기온이 상승하면서 오존 원인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대기 중으로 증발하는 양도 증가하여 오존 생성량이 많아진다.

 

환경부는 폭염 시 고농도 오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오존·미세먼지가 특히 높았던 지자체() 협력하여 여름철 조업단축 등 사업장의 자발적 오염물질 감축을 유도하고, 도로 살수차를 운영하는 한편,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시설에 대한 특별 합동점검(7~8)을 추진하기로 했다.

 

지자체도 오염물질 30% 저감을 위한 민·관 자발적 협약 추진(울산)하고, 대형 소각장 소각물량 10% 감축 운영 및 항만분야 배출저감(부산) 실시하는 등 오존 원인물질 배출 저감을 위해 주도적으로 나선다.

 

승용차보다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주유, 페인트나 세정제 사용 등 오존 원인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활동은 햇빛이 강한 낮 시간대를 피하는 등 시민사회의 공동노력도 오존농도를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김정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수도권과 부경은 폭염이 발생할 때 하늘 상태가 맑고 바람이 약하면 고농도 오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라며,

 

건강보호를 위해 특히 어린이, 노약자, 호흡기·심장질환자는 환경부 에어코리아 누리집(airkorea.or.kr,)이나 우리동네 대기질등에서 제공되는 오존 예보와 경보를 참고하여, 오존 농도가 높을 실외활동을 줄이는 등 주의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7057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군산지역연합회 제47대 부총재 이·취임식 개최
  •  기사 이미지 아산경찰서, 어린이가 먼저인 안심 등굣길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  기사 이미지 QS(Quacquarelli Symonds), 서울대 31위,KAIST 53위,성균관대 123위,한양대 162위,서강대 576...'2024 세계대학평가'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