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새나가는 냉매 잡아 온실가스 줄인다
  • 김흥식 본부장/환경부 출입기자
  • 등록 2018-05-23 00:14:21

기사수정
  • - ‘대기환경보전법’ 하위법령 개정안 입법예고, 추가되는 관리대상 냉매사용기기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설정


▲ 환경부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냉매관리 강화를 골자로 하는 대기환경보전법하위법령 개정안을 523일부터 40일 동안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냉매는 냉동냉장 기기 등에서 열을 낮추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며, 일명 프레온가스로 불리는 수소불화탄소(HFCs), 수소염화불화탄소(HCFCs), 염화불화탄소(CFCs)가 해당된다.

냉매 물질이 대기 중으로 배출되면 태양의 자외선을 어느 정도 막아주는 오존층을 파괴시키고, 가뭄, 홍수 등과 같은 기후변화를 일으킨다. 특히 냉매 물질은 이산화탄소의 14011,700*에 이르는 온실가스로 작용한다.

 

* (출처) 2017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NIR)

 

이번 대기환경보전법하위법령 개정안은 지난해 11월 개정된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올해 1129일부터 시행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관리대상 냉매사용기기에 추가되는 식품의 냉동냉장용 및 산업용 기기의 관리 범위를 설정했다.

 

1일 냉동능력 20톤 이상인 기기로써, 음식물을 냉동냉장 보관하거나, 제조공정에서 온도를 제어, 의약품 등의 제품을 냉동냉장 보관 또는 아이스링크 제빙용 등으로 사용되는 기기가 해당된다.

 

이에 따라, 관리대상 냉매사용기기를 보유중인 사업장은 냉매관리기준에 따라 냉매를 적정 관리하고, 냉매관리현황 등을 냉매관리기록부에 작성하여 매년 그 사본과 증빙서류를 한국환경공단에 제출해야 한다.

 

한국환경공단 기후변화대응처 온실가스감축팀(032-590-3475)

 

또는 냉매관리기록을 냉매정보관리전산망(www.rims.or.kr) 입력 경우 제출한 것으로 인정하여 사업장의 편리성을 높였다.

 

냉매회수업 등록제 시행을 위한 등록기준과 등록절차를 마련했다.

 

냉매회수업을 등록하고자 할 경우 등록기준에서 정하는 시설장비 및 기술인력 요건을 구비하고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서류 등을 첨부하여 한국환경공단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등록증은 한국환경공단의 서류검토 및 현지확인을 거쳐 기준에 적합하다고 판정될 경우 신청서를 접수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 발급받을 수 있다.

 

다만, 2019528일까지는 냉매회수업을 등록하지 않고도 냉매회수업을 할 수 있다.

 

냉매회수업자의 의무사항을 구체화하고 기술인력 교육에 관한 세부사항도 마련했다.

 

냉매회수업자는 냉매를 회수한 경우에는 냉매회수결과표를 작성하여 회수를 의뢰한 사업장에 발급해야 하는데, 반드시 등록된 기술인력(이하 냉매회수 기술인력)이 직접 작성해야 한다.

 

또한, 냉매회수업자는 냉매회수결과표를 매 반기 종료일부터 15 이내에 한국환경공단에 제출하거나 냉매정보관리전산망에 입력해야 한다.

 

아울러, 냉매회수업자는 냉매회수 기술인력이 신규교육과 정기적으로 보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교육 수료일부터 14이내에 그 결과를 보고하거나 냉매정보관리전산망에 입력해야 한다.

 

이 밖에 냉매의 안정적인 회수를 위하여 냉매회수기준에 안전유지및 보관기준을 추가하는 등 회수기준을 강화했다.

 

이번 대기환경보전법하위법령 개정안은 산업계 설명회를 통하여 제도의 수용성을 높이고 간담회 등을 거쳐 등록기준 등을 마련하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환경부 누리집(www.me.go.kr) 법령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환경부는 입법예고 기간 동안 이해관계자, 국민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개정안에 반영할 계획이다.

 

김영훈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이번 개정안이 시행되면 냉매관리가 한층 강화됨에 따라 냉매 누출을 최소화하고, 전문회수업자에 의한 회수율* 향상으로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라고 말했다.

 

* 현재 관리대상인 충전용량 100이상 공기조화기 설치운영사업장에서 신고한 회수량(‘13~’17)은 총 861톤으로, 이를 온실가스로 환산할 경우 116만톤CO2에 해당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유명 1세대 유튜버 ‘대도서관’ 나동현씨, 자택서 숨진 채 발견… 향년 46세 유명 게임 전문 유튜버 ‘대도서관’으로 활동해온 나동현(47) 씨가 9월 6일 서울 광진구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약속에 나타나지 않고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지인의 신고를 받고 출동해 나씨를 발견했으며, 현장에서는 유서나 타살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은 지병에 의한 자연사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며, 부검을 통해 정...
  2. 제천국제음악영화제 레드카펫 ‘부직포 논란’…행사 품격 추락 제21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가 지난 9일 폐막했지만, ‘레드카펫 부직포 논란’은 여전히 지역사회와 문화계에서 회자되고 있다.올해 영화제 개막식에서 깔린 레드카펫은 고급 직물 대신 얇고 쉽게 구겨지는 부직포 재질에 가까웠다는 지적을 받았다. 겉으로는 붉은색으로 도포돼 있었지만, 두께 감이나 질감 면에서 국제 영화제의 격.
  3.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주식 활용 PRS로 7천억 조달…적자·차입 압박 속 돌파구 찾기 8일 업계에 따르면 이차전지 양극재 기업 에코프로가 주가수익스와프(PRS) 계약을 통해 약 7천억 원 규모 자금을 조달한다. 직접 조달에 한계가 있는 만큼 자회사 에코프로비엠 주식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8일 업계에 따르면 에코프로는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대신증권, 메리츠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해 PRS 계약을 추진 중이다. ...
  4. 몽골 화산 여행 중 한국인 인플루언서 추락사 20대 한국인 여성이 몽골 북부 화산 정상에서 사진을 찍다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8일 정부에 따르면 여행 인플루언서 A씨는 지난달 28일 몽골 불간 주 오랑터거 화산 정상 부근에서 촬영 도중 강풍에 휘말려 10m 아래로 떨어져 현장에서 사망했다. 그는 9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SNS 인플루언서로, 당시 몽골 북부 지역을 여행 중이..
  5. 참의원 선거 참패 후폭풍…이시바 총리 11개월 만에 물러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7일 오후 총리 관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민당 총재직 사임을 공식 표명했다. 그는 차기 자민당 총재 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을 것이라며 “새로운 리더를 선출하는 절차를 개시해 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일본은 내각제 국가로, 다수당 대표가 총리직을 맡는다. 현재 제1당은 자민당이므로 자민당 총재 교체는...
  6. 제주 앞바다서 미상 고무보트 발견…밀입국 여부 등 합동 조사 착수 제주 앞바다에서 정체불명의 고무보트가 발견돼 해경과 관계기관이 합동 조사에 나섰다.8일 제주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56분쯤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해녀탈의장 인근 해안에서 “사람이 없는 고무보트가 떠 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현장에 출동한 해경은 사람이 없는 상태의 고무보트에서 낚시대와 구명조끼 6벌, 중국어가 .
  7. 어린이날 덤프트럭 바퀴 분리 사고…의식 못 찾은 여고생 127일째 어린이날 발생한 덤프트럭 바퀴 분리 사고로 중상을 입은 여고생이 넉 달째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가운데, 30대 트럭 운전자가 검찰에 넘겨졌다. 경기 과천경찰서는 8일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위반(치상) 혐의로 덤프트럭 운전기사 A씨를 지난달 말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사고는 지난 5월 5일 오후 1시쯤 과천 갈현삼거리에서 발생했다. ...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