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11개 은행 가운데 9개 은행의 채용비리 1차 검사를 마무리한다. 이번 검사에서 임원 자녀 채용 등 비리로 의심되는 정황이 여럿 발견돼 검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이를 분석한 후 수사 기관에 의뢰하기로 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 19일부터 검사역 30여 명을 투입해 11개 은행의 현장 검사를 진행해왔다.
검사 대상은 국민·신한·하나·농협·수협·부산·경남·대구·광주·전북은행 등이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에서 고강도 검사를 진행했다. 일반적으로 해당 은행에 사무실을 두고 필요한 자료를 요구해 검사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채용담당 임원, 부서장, 실무자로부터 동의서를 받고 이들의 컴퓨터 등을 현장에서 검사했다. 아울러 필요한 관련 자료는 모두 가져와 분석작업을 펼쳤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반 검사 방식으로는 채용비리를 밝혀내기 어려워 전수 조사 형식으로 검사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금감원이 고강도 검사를 벌인 이유는 은행이 자체 점검한 결과 채용비리 정황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보고했기 때문이다. 은행에서도 인사관련 자료는 일부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안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공식적인 서류나 인사담당자의 진술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다.
금감원은 은행 자체 조사로는 채용비리를 밝혀내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즉각적으로 고강도 현장 검사에 나선 것이다. 특히 금감원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각 은행 내에서 수십 건의 채용비리 관련 제보도 잇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검사에서 전·현직 경영진의 자녀가 채용된 정황을 여럿 발견했다”며 “이 가운데 비리가 의심되는 사례들을 분석한 후 수사기관에 의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