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북한 노동당 창건 72주년...北 18일까지 도발 가능성 - ICBM·SLBM 추가 발사할 수도 - 한·미 감시태세 강화 최훤
  • 기사등록 2017-10-10 10:39:34
기사수정


▲ 북한의 기념일 리허설 모습



북한 노동당 창건 72주년 기념일(10일)을 앞두고 한·미 군 당국은 격상된 대북 감시 및 경계태세를 유지하며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비했다. 


정부와 군은 북한이 당창건일을 전후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 등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해 왔다.


청와대 관계자는 9일 “추석 전에 포착된 도발 징후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라며 “(미사일 시설 움직임 등을) 실시간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도 “북한의 도발이 임박했다는 징후는 식별되지 않고 있다”면서도 “격상된 대북 감시 및 경계태세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미국 조기경보위성(DSP)은 한반도 전역을 24시간 감시하고 있으며 주한미군 평택기지에 배치된 정찰기 EO5C 크레이지 호크도 24시간 영상 및 통신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 군 당국은 또 주한미군의 고공 전략정찰기 U2S 및 우리 군의 정찰기 RC800(금강)과 RF16(새매), 피스아이(E737) 공중조기경보통제기, P3C 해상초계기 등 감시자산을 각각 증강 운용하고 있다.


동해상에는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탐지하는 레이더(SPY1D)를 갖춘 해군 이지스 구축함이 출동해 있는 한편 지상엔 탄도탄 조기경보레이더인 그린파인이 가동 중이다. 이들 레이더는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 2분 이내에 탐지할 수 있다. 군 관계자는 “유사시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를 비롯한 각 군의 위기조치반을 즉각 가동할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중국 공산당의 제19차 전국대표대회가 열리는 18일 전까지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남아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중국에서 브릭스정상회의가 열린 지난달 3일 6차 핵실험을 감행했던 북한이 다시 한번 중국을 겨냥한 도발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10일이나 18일이라는 날짜는 우리가 임의로 이야기하는 것”이라며 “현재 북·미 간의 강대강 대결 구도 속에서 중국이 움직이지 않고 현 상황들이 계속 유지되거나 악화되는 쪽으로 갈 경우엔 북한이 군사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5267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군산유스 볼링팀 전국대회 제패
  •  기사 이미지 박경귀 시장 “고향사랑기부금 교차기부…우애와 교류 확대 기대”
  •  기사 이미지 아산시 염치읍 행복키움추진단, 아산 청우회 후원 협약 체결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