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울산 제조업체 경기전망 10분기 연속 '부정적' - 기업경기실사지수 86…자동차·조선업 침체가 원인 최문재
  • 기사등록 2017-09-28 17:20:23
기사수정


▲ 울산상공회의소



울산지역 제조업체들은 올해 4분기 경기 회복 가능성이 여전히 낮은 것으로 전망했다. 


울산상공회의소는 지역 내 15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4분기 기업경기실사지수(BSI)조사한 결과, 전망치가 기준선 100을 밑도는 86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에 따라 울산지역 제조업체들은 무려 10분기 연속 부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이 같은 전망치는 중국의 사드보복 장기화, 북핵리스크 증대, 한미FTA 재협상국면, 세계경제 회복 불확실성 증가 등 대외적 악재와 함께 대내적으로는 자동차, 조선업계 등 주력산업 전반의 위기 확산, 기업투자 감소, 소비부진의 악순환 지속 가능성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주요 업종별로 살펴보면, 자동차(81)는 통상임금과 현대차 노조 새 집행부 변수 등으로 인한 경쟁력 저하, 미국·중국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와 모델 노후화 등으로 상당한 고전이 예상된다. 


또 중국의 추가적인 사드 보복조치와 한미FTA 재협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국산자동차와 부품수출에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그러나 경쟁력 회복을 위해 출시한 소형 SUV 코나와 제네시스 G70으로, 수익성 확대가 기대된다.


친환경 자동차로의 전환 시점에서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와 함께 자율주행차 시대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크고, 유럽·중동·오세아니아 등에서의 수출 증가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석유화학(95)은 국제유가 상승세와 세계시장 석유화학제품 수요 증대로 기본 원료인 에틸렌 가격이 상승하고, 대형 경쟁사인 유럽과 미국의 연이은 악재로 공급중단사태를 맞으면서 반사이익이 예상된다.


다만 신흥국으로 확대되는 보호무역규제, 탄소배출권 규제 등의 불안요인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조선(57)은 사상 최악의 수주난을 겪은 지난해보다는 상황이 다소 개선되긴 했지만 계속된 일감 부족현상으로 경기회복은 더딜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세계시장의 침체로 최대 라이벌인 중국조선업계가 수주 부진과 이익 감소, 외부위험증가 등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이런 상황은 기술력이 뛰어난 한국업체에게 기회가 될 가능성이 있다.


울산상의 관계자는 "석유화학산업이 회복세를 견인하고 있지만 자동차, 조선산업의 장기 침체 때문에 아직 경기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기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정부의 대폭적인 규제 완화와 기업경영 환경의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BSI는 기업들의 현장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100을 넘으면 전분기에 비해 경기가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5239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강남구, 저소득층 인공관절·관절경 수술 및 입원치료 지원 협약체결
  •  기사 이미지 화순 운주사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국제 학술대회 개최
  •  기사 이미지 좀끈끈이주걱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