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벌초 작업 시 안전사고 주의 당부 - 벌초 시 안전사고에 대한 응급처치 및 안전수칙 준수 중요 김만석
  • 기사등록 2017-09-08 15:38:21
기사수정





최근 벌초기간 동안 사고현황을 보면 2015년 550건(벌쏘임 443, 뱀물림 59, 예초기 사고 48), 2016년 689건(벌쏘임 619, 뱀물림 16, 예초기 사고 54)이 발생하는 등 해마다안전사고가 줄어들지 않고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벌초작업을 할 때 안전사고를 대비해 흰색이나 노란색 등 밝은 색 계통의 옷은 피하고, 가능한 맨살이 드러나지 않도록 두꺼운 양말과 목이 긴 신발, 청바지 등을 착용해야 한다. 코팅된 목장갑, 수건, 보호안경과 간단한 구급약품을을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마실 물과 함께 얼음을 준비하면 더위로 인한 일사병이나 탈수증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낫과 예초기에 대한 정확한 사용요령과 자세를 숙지하고, 칼날에 의한 베임사고와 잡초 속 돌과 굵은 나뭇가지에 부딪쳐 돌조각 등이 눈, 무릎, 발목 등을 다치게 하는 사고에 주의하여야 한다.


작업 전에는 긴 막대기 등으로 풀숲을 헤쳐 뱀과 벌집 유무를 확인해야 하며, 벌집이 있을 때에는 무리하게 제거하지 말고 119로 신고해야 한다.


벌에 쏘였을때에는 카드 등으로 긁어 벌침을 빼내어 소독 및 얼음찜질을 하고 두드러기, 호흡곤란 등 몸에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진료를 받아야 한다.


뱀에 물렸을 때는 우선 뱀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야 하며 119나 주변사람에게 도움을 청하여 병원에 빨리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 독이 온몸으로 퍼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물린부위는 심장보다 낮게하고 안정을 취해야 하며 반지나 시계, 꽉 끼는 옷 등은 풀어주는 것이 좋다.


예초기 작업 중 칼날에 부딪힌 작은 돌덩이 등 이물질이 눈에 들어갔을 때는 고개를 숙이고 눈을 깜박거려 눈물이 나도록 해 이물질이 자연적으로 빠져나오게 해야 한다.


경남소방본부 관계자는 “벌초관련 사고는 대부분 산속에서 발생하여 신속한 구조활동이 어려우므로 사고를 미리 막기 위해 벌초 시 안전사고에 대한 응급처치와 안전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5081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포토뉴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