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24일 ‘제5기 경상북도 농어업FTA대책특별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최근 미국의 TPP탈퇴와 한․미FTA 개정 협상에 적극 대응하고, 특히, 새 정부 국정운영 방향에 맞추어 농어촌 일자리 창출, 4차산업 혁명, 농업 6차산업 활성화 등 사람이 돌아오는 농산어촌 정책을 적극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북 농어업FTA대책특별위원회’는 지난 2008년 1월 전국 최초로 도지사 직속으로 출범해 새로운 농업정책 개발을 통해 지금까지 농정 분야 민관 협치의 가장 이상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4기까지 운영된 위원회의 최대 성과는 농어촌 미래인재 양성 플랜으로 경북농민사관학교를 통한 2020년까지 정예 농어업CEO 2만명 양성 계획은 지금까지 13,850명을 배출했으며, 농림 수산계 고등학교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리더 양성 사업은 농림
축산식품부에서 시책 사업으로 채택되는 등의 성과를 올렸다.
또한, 농축산물 수출기금조성, 친환경학교급식 시행 등 굵직한 정책대안을 다수 발굴했으며, 주요국가와의 FTA 체결과 쌀 관세화, 부정청탁금지법 등 국가적 현안이 있을 때는 현장의 목소리를 수렴해 중앙에 건의하는 등 농업 현장의 생생한 현실을 전달하는 상향식 의사 전달의 통로 역할도 충실히 해왔다.
이번에 출범하는 제5기 위원회는 6개 T/F팀(청년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가축질병 예방 및 축산선진화, 농수산물 소비촉진 및 수급안정, 농어촌개발 및 농외소득창출, 농식품 가공 및 수출확대, 지속가능 바다 녹화)으로 구성해 새 정부의 핵심 시책인 일자리 창출과 농업의 6차
산업 활성화를 위해 농업 현장과 일자리 창출 중심으로 확대 개편했다.
이를 위해 경북도는 지난 6월 조례 개정을 통해 위원수를 60명에서 100명으로 확대했으며, 기존 학계가 중심이 되어 운영되던 방식에서 탈피해 농식품 가공업, 언론, 현장 농어업인 인력을 대폭 강화했다.
5기 출범식에서 위원회를 이끌어갈 손재근 위원장은 “앞으로 위원회는 중앙정부와 유기적으로 연계해 주요국가와의 FTA 체결 후속 대응에 주력하면서, 최근 미국이 FTA 개정협상을 공식 요구함에 따라 우리 농어업에 미칠 파장을 면밀하게 분석해 중앙정부에 건의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김관용 도지사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도정 역점시책으로 추진중인 경북의 특성을 살린 돌봄 치유농장, 농업 6차산업 확대 등 경북형 일자리 시책의 정책적 뒷받침에 최선을 다하고, 미래 인재 양성과 농식품 수출 촉진 등 자체 경쟁력 제고에도 박차를 가해 도정 최고의 목표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시책을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