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의 안보수장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비용부담 논란과 관련, 핫라인을 가동해 진화를 시도했으나, 오히려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사드 배치 비용을 한국이 부담해야 한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폭탄 발언'을 놓고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허버트 맥매스터 미 국가안보보좌관이 지난 29일 밤(현지시간) 통화를 한 이후에도 서로 다른 설명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안보실장은 통화 직후 청와대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 정부가 부지·기반시설 등을 제공하고, 사드 체계의 전개 및 운영·유지 비용은 미국이 부담한다는 '기존 합의'를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김 안보실장은 또 맥매스터 보좌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시드 비용 언급에 대해 "동맹국들의 비용 분담에 대한 미국 국민의 여망을 염두에 두고 일반적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30일 맥매스터 보좌관이 '폭스뉴스 선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진행자가 '당신이 한국 측 카운터파트에 기존 협정을 지킬 것이라는 말을 했다는데 사실이냐'고 묻자 "내가 가장 하기 싫어하는 것이 미국 대통령의 발언을 부정하는 것이다. 그런 게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는 "사실 내가 한국의 카운터파트에 말한 것은 '어떤 재협상이 있기 전까지는 그 기존협정은 유효하며, 우리는 우리 말을 지킬 것'이라는 내용이었다"고 말해 기존 합의는 재협상을 하기 전까지 유효하다는 뜻이었다고 말했다.
미국 대통령에 이어 안보수장 역시 사드 비용을 둘러싼 재협상 가능성을 공식화하고 있어 사드 비용 문제를 둘러싼 양국 간 논쟁이 더욱 격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다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이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서는 재협상의 여지를 두는 정도로 맥매스터 보좌관이 진화하고 나선 측면도 있다는 해석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