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시리아 사태와 관련해 시리아와 주변국(터키, 레바논, 요르단 등)에 올해 1400만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한다고 6일 밝혔다.
외교부는 지난 5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시리아 및 주변 지역의 미래를 지원하기 위한 브뤼셀 회의’에서 이같은 계획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이번 회의는 시리아 사태 장기화로 인도적 위기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리아 및 주변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 공약을 확보하고 제네바 평화회담 등 시리아 사태의 정치적 해결 노력에 대한 지지를 결집하기 위해 EU, 독일, 쿠웨이트, 노르웨이, 카타르, 영국, 유엔의 공동 주최로 열렸다.
유엔 인도지원조정실(OCHA) 발표에 따르면 시리아 사태로 인해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인구는 1350만명에 달하며 시리아 인구의 69%가 극심한 빈곤 상태에 처해 있다.
아울러 터키, 요르단, 레바논 등 주변국들은 총 480만명의 시리아 난민을 수용함에 따라 막대한 경제적, 사회적 비용을 부담하고 있어 이들 난민 수용국의 복원력 강화를 위한 지원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엔은 올해 시리아 및 주변국에 대한 지원을 위해 국제사회에 약 90억달러 수준의 지원을 요청했으며, 이는 인도적 위기 중 단일 사태에 대한 사상 최대 규모의 지원 요청액이다.
수석대표로 회의에 참석한 최종문 다자외교조정관은 수석대표 발언을 통해 우리 정부가 2012~ 2016년 이 지역에 인도적 지원으로 총 3500만달러 이상을 기여해 왔음을 소개하고 2017년에도 1400만달러 규모의 신규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계획임을 발표했다.
또한 시리아 북부 이들리브 주 칸셰이칸 지역에서 발생한 화학무기 공격을 강력한 어조로 비난하는 한편, 시리아 사태의 해결을 위한 정전합의의 이행 필요성에 공감하고, 유엔 주도의 제네바 평화회담 등 정치적 해결 노력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회의에는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모게리니 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를 비롯해 총 70여개 국가, 국제기구 및 NGO의 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했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40여개 국가의 공약 발표를 통해 2017년 시리아 및 주변국에 대한 총 60억달러 규모의 기여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대부분의 참석국들은 회의 전날 시리아 북부 지역에서 발생한 화학무기를 사용한 민간인 공격은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화학무기 공격 전면 중단과 함께 시리아 분쟁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 2254호의 조속한 이행을 촉구했다.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중견국으로서 앞으로도 분쟁을 비롯한 만성적 위기 상황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국가와 국민들에 대한 지원 노력에 적극 동참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지난 1일(현지시간) 집중호우로 280여명이 사망하고 550여명의 수재민이 발생하는 등 막대한 인명·재산피해를 입은 콜롬비아에 30만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페루에도 30만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한다. 외교부는 페루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과 한인사회를 중심으로 활발한 지원활동도 계속돼 피해 복구에 힘을 보태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