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최근의 유가 상승에 편승해 석유제품 가격을 불합리하게 인상하는 것을 막기 위해 현장점검을 강화하고 알뜰주유소의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3일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범정부 비상경제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를 개최하고 최근 석유류 가격 동향 및 대응방향,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정부는 국제유가 흐름을 감안할 때 이달중으로는 추가적인 가격상승이 제한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고 밝혔다.
국제유가는 지난해 말 산유국간 감산합의로 배럴당 50달러대로 상승한 이후 최근 53달러 내외에서 등락 중이다.
지난해 9월 배럴당 43.3달러이던 두바이유는 지난해 12월 52.1달러, 올해 1월에는 53.7달러로 올랐다. 올해 1분기까지는 보합세가 유지될 전망이다.
국내유가는 지난해 11월 산유국 감산합의 이후 9주간 87원/ℓ 상승해 국제유가 상승분(88원/ℓ)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알뜰주유소의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고 석유시장의 경쟁을 촉진해 석유가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정부는 “시설관리비용 지원을 통한 알뜰주유소 확대, 기존 알뜰주유소(석유공사, 도로공사, 농협)간 협력 강화 등을 통해 공동구매물량을 최대한 결집하고 정유사의 공급계약 단가를 인하할 것”이라며 “알뜰주유소 구매실적에 따른 가격할인 인센티브 제공, 석유공사 운영비 절감 등을 통해 알뜰주유소에 대한 석유 공급가격을 인하하겠다”고 밝혔다
현장 점검을 강화해 불합리한 가격인상도 억제해 나갈 방침이다.
판매가격이 높은 주유소에 대한 현장점검(지자체·석유관리원 합동)을 통해 가격표시 적정성 단속 및 행정지도를 지속 실시하고 정부-석유업계 간 간담회를 수시로 개최해 석유제품 가격의 과도·편승인상을 억제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