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SK텔레콤-인텔, IoT 기기에 실시간 통신 기술 심는다 - 인텔과 IoT 기기 공동 연구개발 MoU 체결 - PC·스마트폰 외 인터넷 연결 모든 사물에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기능 제공 … - ‘WebRTC’ 이용해 온라인 쇼핑몰 및 배달 전문 업체 用 IoT 기기 제작 가능 조병초
  • 기사등록 2016-08-17 16:26:12
기사수정


▲ 미국 샌프란시스코 인텔개발자포럼(IDF) 현장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SK텔레콤 최진성 CTO(사진 오른쪽)와 인텔 마이클 그린 소프트웨어 솔루션 그룹 부사장이 참석했다(사진제공: SK텔레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장동현)은 세계 최대 반도체 칩 제조사인 인텔(CEO 브라이언 크르자니크, Brian Krzanich)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기술이 탑재된 혁신적 IoT 기기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7 일 밝혔다. 


17일(현지시각 16일) 美 샌프란시스코 ‘인텔개발자포럼(IDF)’ 현장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SK텔레콤 최진성 CTO(최고기술경영자)와 인텔 마이클 그린(Michael A. Greene, VP) 소프트웨어 솔루션 그룹 부사장이 참석했다.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는 웹 브라우저에서 실시간으로 영상·음성·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로,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제정한 차세대 웹 표준 기술이다. 이 기술을 IoT 기기에 적용되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아도 영상·음성 통신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이나 배달 전문 업체가 이 기술을 이용해 주문 전용 IoT 기기를 만든다면, 고객은 버튼 클릭만으로 간편하게 원하는 물품을 주문하고 통화 할 수 있다. 


양사는 인텔의 IoT 기기 제작 보드인 ‘에디슨(Edison)’에 ‘WebRTC’ 적용이 가능한 기술을 공동 개발하며, 이를 통해 PC와 스마트폰 탑재에 한정됐던 ‘WebRTC‘ 영역을 다양한 IoT 기기로 확장시킬 계획이다. 


※ 에디슨 보드: 새로운 IoT 제품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인텔의 초 소형 컴퓨팅 모듈 


SK텔레콤은 지난 12월 ‘WebRTC’를 상용화 하기 쉽도록 업그레이드한 ‘PlayRTC’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공개한 바 있다. ‘PlayRTC’를 이용하면 고가의 서버 구축 없이 적은 비용으로 쉽고 빠르게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출시 및 운영 할 수 있어,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가능해진다. 


양사는 각사가 보유한 개발자센터를 통해 ‘WebRTC’ 개발 도구(x86 CPU用 WebRTC SDK)를 개발자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등 IoT 개발 생태계 활성화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SK텔레콤 차인혁 플랫폼기술원장은 “PlayRTC가 O2O·커머스·완구·스마트공장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혁신의 도구로 활용되기를 바란다”며, “IoT 기기 활용도를 높이고 고객에게 차별화된 통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자 및 중소·벤처 기업과 연구개발 협력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텔 마이클 그린 부사장은 “IoT 기기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제공을 통해 고객이 인텔의 기술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것”이라며, “양사가 보유한 IoT 서비스 개발 경험과 WebRTC 기술을 바탕으로,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혁신적인 IoT 기기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은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성능과 품질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이동통신사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산업군과 협업해 고객들이 편리하고 재미있게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6월 7일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 ‘투비소프트’와 동대문 패션타운 점주들을 위한 간편 주문 IoT 기기 개발·공급 계약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 기기를 이용하면 동대문 패션타운 점주들은 IoT 기기 ‘원클릭’으로 운송기사를 호출해 예약·주문·통화 할 수 있다. 


또한 5월에는 영·유아 교구제 업체인 ‘에듀챌린지’와 음성 통신이 가능한 완구 시제품 공동 개발을 완료했다. 아이들은 완구를 통해 부모에게 전화를 걸 수 있으며, 부모들은 아이들의 습관 형성을 위한 음성 생활지도 및 동화 구연 등의 기능을 원격지에서 스마트폰으로 작동 시킬 수 있다. 


SK텔레콤의 ‘PlayRTC’는 해외 스타트업에게도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허이(HEYI)’社는 2015년부터 전세계 중국어 학습자들에게 1:1 개인 교습을 제공하는 서비스 ‘판다린’에 ‘PlayRTC’를 적용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3114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박경귀 아산시장 “스웨덴식 평생학습 체계, 아산에 접목하겠다”
  •  기사 이미지 예산군 삽교읍, 자율방재단과 생태공원 산책로 예초작업 실시
  •  기사 이미지 예산군보건소, 중년 여성 한의약 갱년기 예방교실 운영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