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뉴스21사설] 중복의 의미, 하지 다음 제4경일 '중복' - 삼복(초복, 중복, 말복)의 유래 … 오는 27일 중복, 누리꾼들의 관심사 전영태 기자
  • 기사등록 2016-07-26 03:57:24
  • 수정 2016-07-26 05:26:54
기사수정

오는 27일은 삼복 중 두번째 복날인 '중복(中伏)'이다. 삼복이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의 절기로 초복, 중복, 말복을 의미한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복날 더위를 피하고자 술과 음식을 마련해 계곡이나 산정을 찾아가 노는 풍습이 있다. 옛날 궁중에서는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빙과를 주고 궁 안에 있는 장 빙고에서 얼음을 나눠주었다고 한다.


민간에서는 복날 더위를 막고 보신을 하기 위해 삼계탕(삼계탕)과 구 탕(보신탕)을 먹는다. 또 금이 화에 굴하는 것을 흉하다 해 복날을 흉일이라고 여기고 씨앗 뿌리기, 여행, 혼인, 병의 치료 등을 삼갔다.


첫 번째 복날을 초복(初伏)이라 하고, 두 번째 복날을 중복(中伏), 세 번째 복날을 말복(末伏)이라 한다. 초복은 하지(夏至)로부터 세 번째 경일(慶日), 중복은 네 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立秋)로부터 첫 번째 경일 이다.


복날은 열흘 간격으로 오기 때문에 초복과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린다. 그러나 해에 따라서는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월복(越伏)이라고 한다. 삼복 기간은 여름철 중에서도 가장 더운 시기로 몹시 더운 날씨를 가리켜 삼복 더위라고 하는 것은 여기에 연유한다.


복날에는 보신(補身)을 위하여 특별한 음식을 장만하여 먹는다. 특히, 개를 잡아서 개장국을 만들어 먹거나, 중병아리를 잡아서 영계백숙을 만들어 먹는다. , 팥죽을 쑤어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에도 걸리지 않는다 하여 팥죽을 먹기도 한다.


한편, 아이들이나 여인들은 참외나 수박을 먹으며, 어른들은 산간계곡에 들어가 탁 족을 하면서 더위를 피하기도 한다. 그러나 해안지방에서는 바닷가 백사장에서 모래찜질하면서 더위를 이겨내기도 한다. 복날과 관계있는 속신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복날에 시내나 강에서 목욕하면 몸이 여윈다고 한다. 이러한 속신 때문에 복날에는 아무리 더워도 목욕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초복 날에 목욕하였다면, 중복 날과 말복 날에도 목욕해야 한다. 이런 경우에는 복날마다 목욕해야만 몸이 여위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복날은 엎드릴 복()자가 의미하듯 더위를 피하여 푹 쉬면서 더운 여름에 식욕이 떨어지는 것을 보충하기 위하여 육식으로 영양을 보충하려는 선조들의 풍습이 전해지고 있으며, '"복달임'이라고 하여 마을 사람들이 함께 모여 보신(補身)을 위하여 특별한 음식을 장만하여 먹는 날이기도 했다.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3008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아산시 온양4동 행복키움추진단, 취약계층 가정을 위한 김치 나눔
  •  기사 이미지 아산시 배방읍, 찾아가는 건강 특화 프로그램 행사 시행
  •  기사 이미지 아산시 염치읍, 관내 모내기 현장 방문하여 농업인 격려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