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감 도중 불거진 ‘김현지 실장 아이폰 교체 논란’…여야 충돌로 확산
  • 장은숙
  • 등록 2025-10-22 09:57:15

기사수정
  • 국민의힘 “9분 만에 아이폰17→14로 교체”…민주당 “정상 약정 종료일 뿐”
  • 대통령실 “국감 대상 아냐”…백현동 연루 의혹까지 이어져 공방 격화

국정감사장에서 대통령실 김현지 제1부속실장을 둘러싼 휴대전화 교체 의혹이 도마에 오르며 여야 간 격렬한 공방이 이어졌다. (사진=MBC뉴스영상캡쳐 2025. 10. 20. )

국정감사장에서 대통령실 김현지 제1부속실장을 둘러싼 휴대전화 교체 의혹이 도마에 오르며 여야 간 격렬한 공방이 이어졌다.


국민의힘은 20일, 김현지 실장이 지난 13일 오전 10시 36분경 아이폰 14에서 아이폰 17으로 기기를 바꾼 뒤 불과 9분 만에 다시 아이폰 14로 되돌린 통신기록이 확인됐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해당 자료는 KT가 국회에 제출한 내역으로 알려졌다.


여당은 이 교체 시점이 이재명 대통령 관련 사법 리스크가 불거진 주요 시기와 겹친다며 “의도적인 증거인멸 시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약정 만료에 따른 단순 기기 변경일 뿐이며, 통신사 권유에 따른 정상 절차”라고 반박했다. 또 김 실장의 국감 출석 요구에 대해서는 “대통령실 소속 참모는 국정감사 대상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경기도 국정감사에서도 김현지 실장이 언급됐다. 야당은 “2016년 성남시 백현동 사업 관련 자료를 김현지 실장이 관여했다”고 주장했고, 여당은 “도정과 무관한 정치공세”라며 맞섰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기기 교체 문제를 넘어 대통령실 참모진의 행적 관리와 권력기관 투명성 문제로 번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청와대 참모가 국감의 사각지대에 있는 만큼, 제도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여야는 오는 주말 추가 국감에서 김현지 실장 관련 자료를 다시 다루기로 하며, 관련 공방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의왕시 사근행궁, 의로운 왕의 도시가 잊지 말아야 할 자리 [뉴스21 통신=홍판곤 ]정조는 '의로운 왕(義王)'이었다. 그는 백성을 사랑했고, 아버지를 그리워했으며, 무너진 나라의 기강을 세우려 했다. 사근행궁에 들렀을 때마다 마음속에 품었던 건 단 하나였다."아버지를 배알하고, 백성을 돌보는 그 길이 곧 임금의 도리다."그 길 위에 오늘의 의왕(義王)이 있다. 그러나 지금, 그 이름의 ...
  2. '리얼시그널' 웹사이트...부동산, 예금, 주식, 가상자산 보유 현황 확인 (사진=네이버db)[뉴스21 통신=추현욱 ]고위 공직자들의 실제 부동산 보유 현황을 보여주는 웹사이트가 등장해 눈길을 끈다. 공개된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자료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온라인 서비스 '리얼시그널'이 그것이다.리얼시그널에는 대통령, 국회의원, 장·차관, 고위 법관 및 검사, 군 장성 등 약 7000명의 자산 내역이 담겨 있..
  3. 단양 강풍 속 패러글라이딩 비행 중 추락…탑승자 1명 중상 지난 22일 오후 3시 34분께 충북 단양군 단양읍 노동리 양방산 전망대 인근에서 패러글라이딩 비행 중이던 50대 남성 2명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단양소방서에 따르면, 사고 당시 조종사 A 씨와 동승 고객 B 씨는 이륙 직후 강풍에 중심을 잃고 인근 야산으로 추락했다. 현장에 있던 패러글라이딩 업체 직원이 즉시 119에 신고했으며, 소방..
  4. 제천시, 초고압 송전선로 ‘1년 전부터 인지’하고도 침묵… 충북 제천시가 초고압 송전선로(345kV 신 평창–신 원주) 건설사업이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을 지난해 11월부터 알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하지만 시는 이 사실을 시민에게 단 한 차례도 공식적으로 알리지 않아 ‘행정의 무책임’과 ‘정보 은폐’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한국전력공사는 지난해 11월 제천시를 포함한 해당 구...
  5. 매크로로 프로야구 티켓 10만장 싹쓸이한 40대 검거 프로야구 티켓을 매크로 프로그램으로 10만 장 넘게 예매해 되팔아 거액의 수익을 챙긴 40대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해당 프로그램을 제작·유포한 20대 2명도 함께 검거됐다.대전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암표 판매 혐의로 A씨(42)를, 매크로 프로그램을 제작해 유포한 20대 2명을 정보통신망법 및 국민체육진흥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했다...
  6. 김꽃임 도의원 “제천은 전력 수혜지 아닌 희생양… 송전선로 노선 전면 재검토하라” 충북도의회 산업경제위원장 김꽃임 의원(제천1·국민의힘)이 정부와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345kV 신 평창~신 원주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제천 경유 노선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김 의원은 21일 열린 제429회 충북도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이번 사업은 강릉발전소 전력을 강원 영서와 용...
  7. 태백 라마다 호텔 충격 증언 "1,910명 등기는 껍데기, '무제한 멤버십' 판매가 본질" 태백 라마다 호텔 사태가 1,910명의 '지분 쪼개기' 등기 분양 문제로 알려진 것과 달리, 실제로는 '무제한 멤버십 회원권' 판매를 통한 변칙적 수익 창출이 더 심각한 문제의 본질이라는 내부 관계자의 충격적인 증언이 나왔다.과거 태백 라마다 호텔의 내부 관계자 A씨는 "기사화된 1,910명의 등기 문제는 전체 사기 규모의 100분..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