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정치가 유튜브에 종속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최근 민주당 내 주요 인사들이 연이어 김어준 씨가 운영하는 유튜브 방송에 출연하며, 당내 공천과 정책 방향마저 팬덤의 입김에 좌우된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여권 관계자들조차 “민주당에서 김어준 방송에 나가는 것이 곧 공천 보증 수표처럼 여겨진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김 씨 방송의 고정 출연자와 빈번히 모습을 드러낸 정치인 상당수가 총선에서 공천을 받았고, 반대로 ‘비명’으로 분류된 의원들은 공천에서 배제됐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두고 “정치의 공정성과 다양성이 무너진 것”이라며 우려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김어준 씨를 “충정로 대통령”이라 부른다. 과거 조선일보 방우영이 ‘밤의 대통령’으로 불리던 것처럼, 미디어 권력이 정치를 압도하는 현상이 다시 재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민주주의 제도에 의해 견제받아야 할 정당과 대통령까지, 특정 유튜버의 영향권에 갇히는 모습은 정치의 심각한 퇴행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학계와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단순한 방송인의 영향력을 넘어선 구조적 문제로 본다. 강준만 전북대 명예교수는 “민주당의 ‘김어준 중독 현상’은 정치가 스스로 자율성을 잃고 팬덤에 휘둘리는 전형적 사례”라며 “결국 국민의 정치 불신만 키우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치의 본령은 국민의 뜻을 제도적 절차로 반영하는 데 있다. 그러나 현재 민주당의 모습은 특정 인물과 그를 둘러싼 팬덤의 구호에 더 민감하다. 이는 민주주의가 건강하게 작동하는 길과는 거리가 멀다. 정치가 제자리를 찾기 위해선 ‘충정로 권력’에 의존하는 구태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