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익산시 제공
익산 왕궁축산단지가 ‘생명의 터전’으로 되살아나고 있다. 익산시는 최근 폐업으로 비어 있던 부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맹꽁이의 집단 서식이 확인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발견은 자연환경 복원사업 부지를 점검하던 중 맹꽁이 울음소리가 들리면서 이뤄졌으며, 7~8월 진행된 생태조사에서는 총 7개 지점에서 성체와 어린 개체가 함께 발견돼 안정적인 서식지임이 확인됐다.
맹꽁이는 무분별한 개발과 기후변화로 개체 수가 급감해 2005년 환경부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보호종이다. 이번 서식 확인은 단순한 종 출현을 넘어, 오랜 기간 축산업으로 훼손된 182만㎡ 규모의 왕궁 부지를 생태환경으로 복원하는 ‘왕궁 자연환경복원사업’의 정당성과 시급성을 입증하는 근거가 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발견으로 복원사업의 법적·환경적 명분이 강화됐다고 본다. 국가가 보호하는 종이 서식한다는 사실은 왕궁 부지의 생태적 가치를 입증하며, 향후 국가 평가 과정에서 보전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핵심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맹꽁이가 얕은 습지와 일시적 웅덩이 등 특정 수리환경에서 번식하는 종이라는 점에서 해당 지역이 이미 일정 수준의 생태 연결성을 갖췄음을 보여준다.
익산시는 이번 발견을 계기로 복원사업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서식지 인근의 매입 축사를 철거해 공간을 넓히고, 추가 생태조사를 통해 서식지 간 연결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주민 참여형 생태 보호 활동과 모니터링 체계도 도입해 지속 가능한 복원 모델을 만들어갈 방침이다.
익산시 관계자는 “맹꽁이 집단 서식은 왕궁이 생명의 땅으로 회복되고 있다는 가장 직접적인 신호”라며 “생태 자산을 잘 보전·확대해 지역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주민과 함께 복원사업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맹꽁이는 기후와 환경 변화에 민감한 양서류로, 이들의 서식은 해당 지역이 건강한 습지 생태계로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