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상암동의 쓰레기 소각장 앞에 마포구청 공무원들이 모였다.
최근 서울시가 마포구를 제외하고 주변 자치구들과 '소각장 사용 연장 협약'을 맺은 데 대해, 반발하는 자리다.
이 소각장은 주변 5개 자치구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하루 750톤 정도씩 처리해 왔다.
사용 기간 20년이 거의 만료되면서, 서울시와 마포구의 입장이 갈렸다.
서울시는 시설 사용 기한을 다른 소각장들과 동일한 '시설 폐쇄 시까지'로 바꾸자는 입장이다.
하지만 마포구는 1년마다 협약을 갱신하되, 향후 소각장 운영에 마포구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울시는 소각장 운영 권한을 갖고 있다며, 자치구들과 맺은 연장 협약은 적법했다는 입장이다.
또, 마포구에는 이미 기피 시설 수용 대가로 200억 원을 지급했다며, 계속 반발하면 시민들의 추가 부담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서울시와 마포구는 신규 소각장 건설 문제를 놓고서도 법적 분쟁을 벌이고 있다.
쓰레기 처리를 둘러싼 몸살이 지자체끼리의 분쟁으로 점점 확대되고 있다.